미중 무역전쟁 충격…中 4월 소비·생산 지표 나란히 둔화
당국 "4월 외부 충격 영향…中 경제 긍정적 기조 불변"
- 정은지 특파원
(베이징=뉴스1) 정은지 특파원 = 미중간 무역전쟁이 격화함에 따라 지난달 중국의 소비·생산·투자 등 실물경제 지표가 일제히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당국은 불안정한 요소들이 여전히 많다면서도 경제가 지속적으로 회복할 수 있는 긍정적 조건들이 많다고 낙관했다.
19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 소매판매액은 3조7174억 위안(약 721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1% 증가했다. 이는 전월 증가율(5.9%)은 물론이고 블룸버그(6.0%), 로이터(5.5%) 예상치에 못미친다. 소매판매액은 내수경기를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경제지표 중 하나로 지난해 12월부터 상승세를 이어갔으나 5개월만에 다시 전월 대비 하락했다.
기업 생산활동을 가늠하는 지표인 산업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6.1% 증가했다. 전월 증가율(7.7%)보다는 둔화했다. 다만 로이터(5.5%), 블룸버그(5.9%) 예상치는 웃돌았다.
또한 1~4월 누적 고정자산투자 증가율도 4.0%에 그치며 예상치(4.2%)를 하회했다. 이는 1~3월의 4.2% 대비로도 둔화한 것이다.
이와 관련 푸링후이 국가통계국 대변인은 "올해 들어 국제 환경이 복잡하게 변화하고 미국이 중국에 대한 일련의 일방적 고율 관세 부과 조치로 중미 경제무역 관계에 심각한 충격을 줬다"며 "다음 단계의 상황을 봤을 때 국제 경제 환경은 여전히 복잡하고 엄중하며 불안정하고 불확실하며 예측이 어려운 요소들이 많다"고 말했다.
푸 대변인은 "그럼에도 중국 경제의 장기적 긍정적 기조는 변하지 않았고 각종 거시 정책이 협력해 힘을 발휘하고 각 분야가 힘을 모아 적극적으로 대응하면서 혁신 동력이 지속 성장하고 있다"며 "경제가 지속적으로 회복이 될 수 있는 유리한 조건이 많다"고 강조했다.
푸 대변인은 4월 외부 충격의 영향이 컸다고 평가하면서도 "시장과 밀접하게 연결된 시장 판매와 서비스업이 지속해서 안정적으로 상승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ejjung@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