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대보름, 아이들과 부럼 깰 때 치아 손상 주의하세요
"영구치 손상, 장기적으로 부정교합 등 위험"
- 조유리 기자
(서울=뉴스1) 조유리 기자 = 정월대보름 부럼을 깨고 약밥을 먹는 풍습은 우리 민족의 전통이다. 호두, 땅콩 등 딱딱한 껍데기를 깨물면 한 해 동안 부스럼이 생기지 않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다만 단단한 음식은 아이들 치아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한성훈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치과 교수는 12일 정월대보름을 맞아 아이들이 견과류를 씹을 때 치아 손상을 주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헌 교수는 "특히 성장기 아이들의 유치는 영구치보다 법랑질(치아 가장 표면)이 얇아 쉽게 손상될 수 있고 무리한 힘을 가하면 치아에 금이 가거나 깨질 위험이 있다"며 "심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나아가 영구치 맹출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자료에 따르면 0~6세 아이들의 구강 부위 외상은 해당 연령에서 두 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외상으로, 전체 신체 외상의 약 18%를 차지했다.
외상에 의해 멀쩡하던 유치가 조기에 탈락하거나 제자리를 이탈하는 경우, 이가 나올 공간이 확보되지 않아 장기적으로 부정교합이나 치열 불균형 등 다양한 치아 발달 문제로 이어질 위험이 있어 단순한 외상 이상의 주의가 필요하다.
유치 외상 탓에 조기 탈락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면 손상된 치아 공간을 방치하지 않고 이후 영구치가 나올 공간을 유지하거나 되찾기 위한 관리가 필요하다.
한 교수는 "치과교정학적 진단을 통한 결과로 공간 유지 장치 적용이 고려될 수 있으며, 이후 영구치가 정상적으로 자랄 수 있도록 지속적 공간 관리가 이뤄져야 한다"며 치아 외상이 발생한 경우 치과를 방문해 치과교정과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 교수는 아이들이 견과류 등 단단한 음식을 섭취할 때는 너무 급하게 깨물지 않도록 주의시키고, 한입 크기로 나누어 먹도록 권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또 외상 후 아이가 평소와 다르게 입안 통증을 호소하거나 치아의 위치와 색깔 변화가 관찰된다면 신속히 치과를 방문해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ur1@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