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월경장애 심할수록 우울감 높아…10대 여성 더 취약"

국립보건연구원, 성·생식건강조사자료 분석 연구결과
중증증상 많을수록 우울감 증가…청소년기 2.8배 ↑

중증 월경장애 개수에 따른 높은 우울감 비교(질병청 제공) 2025.4.17/뉴스1

(서울=뉴스1) 조유리 기자 = 월경장애를 많이 경험한 여성일수록 우울 증상이 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청소년기에서 월경장애와 '높은 우울감'의 연관성이 두드러졌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월경장애를 경험한 여성에서 우울 증상을 겪는 비율이 높다는 연구 결과를 대한의학회 학술지(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에 발표했다고 17일 밝혔다.

가임기 여성에서 가장 흔한 부인과 문제 중 하나인 월경장애는 신체적 통증과 활동 제한 등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쳐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

국립보건연구원은 2022년에 실시한 한국 여성의 생애주기별 성·생식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해 국내 13~55세 여성 3088명의 월경장애와 우울 증상 간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전체 대상자의 91%가 월경장애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증 월경장애를 경험한 이들은 전체의 57%였다.

월경통, 월경전증후군, 비정상 자궁출혈 증상이 없는 여성에 비해 중증 증상을 경험한 여성에서 높은 우울감을 겪는 비율이 각각 1.6배, 2.0배, 1.4배 높았다.

또한 경험한 중증 월경장애 수가 많을수록 높은 우울감을 겪는 비율이 유의미하게 증가했는데 이러한 연관성은 특히 청소년기에서 두드러졌다.

중증 월경장애가 없는 여성에 비해 중증 증상이 1개~3개로 증가할수록 높은 우울감이 각각 1.6배, 2.0배, 2.1배 높았으며 청소년기에서는 중증 월경장애를 1개만 경험해도 1.8배였으며, 3개일 경우 약 2.8배로 성인기 1.9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월경 관련 증상을 단순한 생리적 불편이 아니라 여성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건강문제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며 "여성건강연구사업을 통해 성·생식건강 현황과 주요 건강 이슈를 파악하기 위한 전국 단위 조사를 지속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ur1@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