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역학조사관 도입 25년…표준교재 개발로 전문·실무 역량 높인다

질병청, 한국역학회와 '역학조사관 교육 표준교재' 첫 발간
전국 250명 활동, 교육·훈련 중인 수습역학조사관 300여명

지난해 8월 31일 경기도 김포시 한 양돈농가에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병해 방역 관계자들이 출입을 통제하고 방역작업을 하고 있다. /뉴스1 ⓒ News1 박세연 기자

(서울=뉴스1) 조유리 기자 = 질병관리청은 역학조사관 제도가 도입된 지 25년이 된 올해 한국역학회와 함께 체계적인 교육을 위해 '역학조사관 교육 표준교재'를 개발하고 14일 발간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역학조사관은 감염병예방법에 따라 감염병 차단 및 확산 방지를 위해 감염병환자등의 발생 규모를 파악하고 감염원을 추적하는 등 역학조사를 수행하는 전문인력이다.

미국을 비롯한 대부분의 세계 주요 국가들이 역학조사관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감염병 유행 및 대응체계의 발전과 함께 역학조사관 제도를 정비해 왔다. 국내에서는 1년간의 시범운영을 거쳐 2000년에 공중보건의사를 중심으로 하는 제1기 20명을 선발해 교육·훈련의 틀을 마련했다.

질병청은 2000년부터 전문적인 역학조사관을 양성하기 위해 3주 과정의 집합교육인 '역학조사관 기본교육' 등 다양한 교육·훈련 과정을 운영해 왔다. 다만 체계적인 교육 운영을 위해 표준화된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에 질병청은 지난해부터 한국역학회와 협력해 표준교재 개발에 착수해 총 3권의 표준교재를 제작했다. 이번에 개발된 교재는 향후 역학조사관 기본교육 과정의 교재로 활용될 예정이며 현장 중심의 실질적인 교육 내실화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

그런 한편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의 국내 유행을 겪고 난 이후 국가방역체계 개편과 함께 감염병예방법에 역학조사관 의무 배치 규정이 신설됐다. 이후 공무원 중심 제도로 전환됐으며 현재와 같은 역학조사관 교육·훈련 제도가 마련됐다.

특히 코로나19 유행을 겪으면서 지역사회 전파를 막고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중앙과 시도 외에 시·군·구의 지역단위까지 역학조사관을 의무적으로 배치하도록 했다.

현재 교육·과정을 수료한 역학조사관 250여 명이 전국에 활동하고 있으며 역학조사관이 되기 위한 교육·훈련 과정에 있는 수습역학조사관은 약 300명에 이른다.

지영미 청장은 발간식에서 "감염병 위기 속에 누구보다 먼저 감염병 현장에 나가 발로 뛰며 혼신의 힘을 다해온 역학조사관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며 "표준교재를 통해 우리나라 역학조사관의 전문성이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ur1@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