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양곤 HLB 회장 "내년 글로벌 신약 3개 출시…상업화 자신"
HLB그룹, 22일 제3회 HLB포럼 개최
차세대 파이프라인, 계열사 전략 조명
- 문대현 기자
(서울=뉴스1) 문대현 기자 = 진양곤 HLB그룹(028300) 회장은 내년까지 신약 3개를 상업화하는 등 파이프라인을 늘려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으로 성장하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진 회장은 22일 서울 송파구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 호텔에서 열린 '제3회 HLB 포럼 2025 도약, 2030 비상, HLB의 미래를 함께 그리다'에서 그룹의 미래 전략을 공유했다.
올해로 3회째를 맞은 HLB포럼은 기존 연구개발 중심의 바이오포럼에서 도약해 보다 확장된 형태의 전략 포럼으로 재탄생했다.
그룹의 핵심 파이프라인(간암 신약·리보세라닙)과 미래를 위한 전략 파이프라인의 개발 현황을 공유하는 것은 물론, 2030년 비상을 위한 진단-예방-치료의 주요 사업 계획과 오픈 이노베이션 투자 전략을 집중 조명했다.
진 회장은 "긴 시간을 놓고 보면 우리는 계속 성장해 왔다"며 "작은 조선기자재 회사였던 HLB가 이제 글로벌 신약 출시를 눈앞에 둔 바이오그룹이 된 것처럼 앞으로도 기어이 해내는 정신으로 더 밝은 미래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진 회장은 간암 신약 '리보캄렐', 담관암 신약 '리라푸그라티닙' 등 임상 개발에 매진 중인 신약을 소개하며 상업화를 자신하기도 했다.
그는 "내년까지 글로벌 신약을 3개 이상 출시를 기대하고 있다. 2030년 진단, 치료, 예방 등 전주기 밸류체인을 구축한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정세호 엘레바 테라퓨틱스 (HLB 자회사) 대표는 간암 신약의 글로벌 임상3상의 주요 결과와 의의, 브랜드 전략에 대해 설명했다.
정 대표는 리보세라닙의 뒤를 잇는 파이프라인으로 담관암 치료제 '리라푸그라티닙'을 소개하며 "치료 옵션이 제한된 고형암에서 글로벌 혁신신약으로서 잠재력을 갖춘 파이프라인이라 판단했다"고 전했다.
행사에서는 HLB그룹의 계열사 △HLB제넥스(187420) △HLB뉴로토브 △HLB펩(196300)의 기술 경쟁력과 전략적 방향성도 소개됐다.
김도연 HLB제넥스 대표는 "카탈라아제, 락타아제 등 산업용 특수 효소를 빠르게 개발하고 대량 생산할 수 있는 플랫폼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며 "글로벌 반도체 및 유제품 기업들에 공급하며 기술력을 입증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대수 HLB뉴로토브 대표는 핵심 파이프라인인 근긴장이상증 치료제 'NT-1'과 파킨슨병 치료제 'NT-3'의 경쟁력을 내세웠다.
심경재 HLB펩 대표는 "비만·당뇨 등 대사성 질환과 궤양성 대장염 등 신약 파이프라인을 기반으로 펩타이드 기반 헬스케어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eggod6112@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