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인벤티지랩, 'mRNA·AI 활용 비만 약 최적화' 국가과제 선정

LNP 제형 최적화 기술로 비만 약 시장 공략
"LNP 자동화 제조 플랫폼·CDMO 사업화 동력"

인벤티지랩 연구원이 제제연구를 하고 있다.(인벤티지랩 제공)/뉴스1

(서울=뉴스1) 황진중 기자 = 인벤티지랩(389470)은 최근 산업통상자원부가 지원하는 국가연구개발사업 '핵산치료제 맞춤형 지질나노입자(LNP)의 인공지능(AI) 기반 디지털 자동화 공정 시스템 개발' 과제에 주관기업으로 선정됐다고 23일 밝혔다.

인벤티지랩은 마이크로스피어 기반 장기지속형 주사제, LNP 기반 메신저리보핵산(mRNA) 제형 연구·제조 플랫폼 전문기업이다.

이번 과제는 인벤티지랩을 중심으로 테르나테라퓨틱스, 에이엠스퀘어와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해 약 85억 원 규모로 4년 9개월간 수행된다. AI 기반 LNP 제형 설계와 제조 공정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핵심 목표다. 이를 바탕으로 mRNA 발현을 통해 비만을 치료하는 유전자 치료제의 전임상 개발까지 수행할 계획이다.

동물 모델을 활용한 예비 연구 결과에서 비만 치료용 mRNA LNP를 투여한 고지방 식이군에서 7일 이내 약 10%에 달하는 체중 감소와 함께 간 내 지방 축적의 개선 효과가 확인됐다. 인벤티지랩은 mRNA 기반 비만 치료제의 가능성과 플랫폼 기술의 치료제 적용 확장성을 뒷받침하고 있다고 전했다.

주관기관인 인벤티지랩은 자체 보유한 마이크로플루이딕(미세유체역학) 기반 LNP 제형 개발·생산 플랫폼과 의약품제조및품질관리(GMP) 승인 제조 인프라를 활용한다. AI 기술을 접목한 디지털트윈 시스템 구축과 생산 공정 최적화를 주도한다.

인벤티지랩은 이번 과제를 통해 개발되는 비만 치료제를 사업화하고, 자사의 mRNA 치료제 분야 확장을 가속할 계획이다. 함께 참여하는 테르나테라퓨틱스는 mRNA 엔지니어링과 특화 LNP 제형 개발, 에이엠스퀘어는 AI 기반 예측 모델과 공정 디지털트윈 구현을 각각 담당한다.

세 기업은 제형 설계·공정 자동화·비임상 개발·생산으로 이어지는 차세대 치료제 위탁개발생산(CDMO) 플랫폼 생태계를 공동 구축하게 된다.

인벤티지랩은 LNP 자동화 시스템과 GMP 대응 인프라를 모두 보유한 기업이다. mRNA 치료제 대량생산 CDMO 플랫폼을 구축해 가고 있다. 이번 과제를 통해 AI 기반 공정 최적화 기술이 적용된 국산 LNP 플랫폼 개발과 GMP 수준의 대량생산 체계 확립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인벤티지랩은 전 세계적으로 급성장 중인 비만 치료제 시장을 겨냥한 mRNA 기반 치료제 개발에 AI 기술을 융합해 정밀한 제형 설계와 공정 효율성 측면에서 전략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김주희 인벤티지랩 대표는 "이번 과제를 통해 첨단 AI 기술과 미세유체역학 기술이 융합된 LNP 제조 공정의 혁신을 끌어내고자 한다"면서 "AI 기반 자동화 기술은 신약 개발의 속도와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를 바탕으로 mRNA 기반 비만 치료제뿐 아니라 팬데믹 대응 백신과 다양한 치료제 개발에 있어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면서 "이번 과제 수행을 통해 인벤티지랩은 LNP 제형 개발 및 공정 자동화 분야에서의 기술적 리더십을 한층 강화하고, 글로벌 핵산치료제 시장에서 경쟁력을 지속해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jin@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