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담뱃값 인상" "약사 주도 프로그램 필요"…금연율 올릴 해법 모색

뉴스1, 남인순·서영석 의원 주최 '금연 정책 토론회'
흡연율 증가세로 전환…"새로운 금연사업 모색할 때"

더불어민주당 서영석 의원과 남인순 의원이 5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민 건강 보호를 위한 금연정책 강화 방안 모색 토론회에서 이성규 한국담배규제연구센터장의 '담배제품 및 시장 변화에 따른 흡연행태 변화' 주제 발표를 경청하고 있다. 2024.12.5/뉴스1 ⓒ News1 박정호 기자

(서울=뉴스1) 김규빈 기자 = 꾸준히 감소하고 있던 흡연율이 지난해 증가세로 돌아섰다. 전문가들은 금연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약사 주도의 금연 프로그램 개설, 담뱃값 인상, 가향 담배 판매 제재 등 금연정책이 획기적으로 변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뉴스1>은 남인순·서영석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공동으로 5일 오후 국회의원회관 9간담회의실에서 '국민 건강 보호를 위한 금연정책 강화 방안 모색'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금연시도 감소 속 국가금연서비스의 역할'을 점검하는 패널토론이 이뤄졌다.

먼저 김현숙 대한금연학회 회장은 "금연 치료가 감소한 이유 중에 가장 큰 이유는 담뱃값이 10년째 4500원으로 인상되지 않았다는 점"이라며 "(학회에서는) 내년 담뱃값이 8000원 정도는 되어야 금연율이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향을 더한 멘톨담배, 캡슐담배 등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대응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 회장은 "미국, 핀란드 등은 가향담배를 금지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유일하게 가향담배를 판매하고 있다"며 "멘솔, 가향 등에 대한 적극적인 규제가 필요하다"고 했다.

KT&G, BAT코리아, 한국필립모리스, JTI코리아 등 담배 4사의 조사결과, 지난 2013년 총 담배 판매량은 43억1000만갑인데 이 중 가향담배는 4억2000만갑(9.8%), 일반담배는 38억9000만갑(90.2%)이었다. 2022년 기준 총 담배 판매량은 37억갑으로 줄었지만 가향담배는 16억3000만갑(44.0%)으로 비중이 크게 늘었고, 일반담배는 20억7000만갑(56.0%)로 비중이 다소 줄었다.

패널로 참여한 김미영 서울은평구보건소 건강관리과장은 금연을 다짐하면 흡연 과태료를 감면해주는 제도 등이 시행 중에 있지만 실효성이 없다고 비판했다. 김 과장은 "보건소에 금연 상담을 하기 위해 오면 과태료 50~100% 감면해주는 제도가 있지만, 어느순간 과태료를 절감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며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보건소 내에 있는 금연 클리닉에서 니코틴대체제(NRT)를 제공하고 있다"며 "금연 약국이 있는지를 살펴봤는데 우리나라에는 없었다. 현실적으로 약사가 NRT에 대해 설명을 해준다고 하면 금연을 시도하는 분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5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민 건강 보호를 위한 금연정책 강화 방안 모색 토론회에서 정경혜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교수(앞줄 왼쪽부터 시계방향)와 더불어민주당 서영석 의원, 남인순 의원, 윤태형 뉴스1 상무, 김현숙 대한금연학회 회장, 김미영 서울은평구보건소 건강관리과 과장, 김정은 금연약국 운영 약사, 김혜진 OTC연구모임 부회장, 정찬도 보건복지부 건강증진과 사무관, 이성규 한국담배규제연구센터장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2024.12.5/뉴스1 ⓒ News1 박정호 기자

약국에서 근무한 후 학교로 자리를 옮긴 정경혜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교수는 "약국에서 약 15년을 근무했는데 (금연을 하고 싶은) 환자들이 니코틴 패치를 달라고 했을 때, 그냥 니코틴 패치만 줬다"며 "원래 제일 큰 니코틴 패치를 주고,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니코틴 패치의 크기를 줄이도록 해야 하는데 당시에는 이 부분에 대한 교육이 없었다"고 했다.

정 교수는 흡연 환자들이 가장 쉽게 들를 수 있는 곳은 약국이며, 이 때문에 약국에서 흡연 환자들을 발굴해 금연 교육을 해야한다고 했다.

정 교수는 "흡연자들에게는 담배를 끊어야 할 이유를 알려주고, 스스로 의지를 갖게 하는 것이 중요한데, 약국이나 약사들이 '지금 천식약을 복용중인데 담배를 피면 몸이 어떻게 망가지는지' '금연을 왜 해야하는지' 등을 설명해주면 환자들이 따르고 있다"며 "미국에서는 입원한 심장병 질환환자에게 금연 교육을 시키지 않으면 병원 평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등 의료기관에서 금연에 앞장서고 있다"고 밝혔다.

김혜진 일반의약품(OTC)연구모임 부회장도 약사가 주도하는 금연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부회장은 "코로나19 시기 공적마스크를 약국에서 받아봤는데, 약국을 선택한 이유는 오랜시간 동안 영업을 하고 관리된 시스템 안에서 배포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있기 때문에 선택한 것"이라고 했다.

그는 "흡연자들을 바로 알아낼 수 있는 곳도 약국"이라며 "약국에서 주도적으로 금연 사업을 실시하면 굉장히 체계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정찬도 보건복지부 건강증진과 사무관은 "최근 질병청이 발표한 자료에서 흡연율이 소폭 증가한 것을 보고 안타깝게 생각한다"면서 "금연지원사업을 하고 있는 입장에서 오늘 발제를 듣고 금연지원사업을 좀 더 효율화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볼 때가 됐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2015년 담뱃값이 오르면서 당시 금연 지원 사업에 예산이 1500억까지 배정되었으나, 예산이 점점 단축돼 내년에는 900억대 초반으로 줄어들었다"며 "신종담배 등 변화하는 담배에 대응하기 위해서 (금연) 예산을 확보하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성규 한국담배규제연구교육센터 센터장도 정부의 정책 변화를 촉구했다. 이 센터장은 "담배를 피는 행태도 바뀌었고, 출시된 담배 종류들도 바뀌었다"며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 중에 10년째 제자리인 것도 있는데 안되는 사업은 접고, 새로운 사업을 검토할 때가 왔다"고 지적했다.

rnkim@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