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필수의료 공백 메우자"…복지부, '시니어의사' 채용 활성화한다
복지부 '시니어의사 지원 사업'…채용지원금, 모집, 매칭, 교육 실시
지방의료원, 보건소 등 인력확보 어려운 지역 의료기관 지원
- 구교운 기자
(서울=뉴스1) 구교운 기자 = 보건복지부가 지역 필수의료 의사 부족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시니어의사 채용 활성화한다.
복지부는 이같은 내용의 2025년 '시니어의사 지원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
이 사업은 임상 경험이 많고 사명감 있는 시니어의사의 전문성이 지역 의료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체계를 마련해 지역 의료공백을 최소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올해는 지속적인 의사 인력난을 겪고 있는 지방의료원 등 지역 공공의료기관뿐만 아니라 공중보건의사 감소로 의사 인력 확보가 어려워진 보건소까지 포함해 확대 추진한다.
이 사업을 통해 △시니어의사를 채용한 지역의료기관, 보건소 등에 채용지원금을 지원하며 이외에도 시니어의사 지원체계를 마련해 △시니어의사 모집 △의료기관 등과 매칭 △지역 의사 커뮤니티 활동 지원 △교육 지원 등을 실시한다.
'시니어의사 채용지원금'은 지역의료기관, 보건소 등의 시니어의사 신규 채용 및 고용 유지를 장려하기 위해 기관에 지급하는 지원금으로 이날부터 다음 달 9일까지 지원 신청을 받는다.
지원 조건에 맞는 시니어의사를 채용한 지방의료원, 적십자병원 등 지역 공공의료기관과 의료취약지 보건소 등이 신청할 수 있다. 조건은 전문의 취득 이후 △대학병원·종합병원급 이상 수련병원에서 10년 이상 근무 경력 또는 △20년 이상 임상 경력(병원급 이하 경력 포함)이 있는 60세 이상 의과 의사다.
각 기관에서는 시니어의사의 근무 형태에 따라 유형(전일제, 시간제)을 선택해 관할 시도에 신청서 및 사업계획서를 제출하면 된다. 전일제는 월 1100만 원, 시간제는 월 400만 원이 지원된다.
복지부는 선정평가위원회를 통해 각 기관에서 제출한 신청서 및 사업계획서에 대해 서면평가를 실시하고 시니어의사의 근무 경력, 의료취약도, 사업 계획의 구체성 및 적정성, 지원 필요성 등을 고려해 시도별 채용지원금 지원 대상 기관을 선정할 계획이다.
복지부는 국립중앙의료원 시니어의사 지원센터를 통해 은퇴 후 계속 진료 활동을 희망하는 시니어의사를 모집해 채용 수요가 있는 지역의료기관, 보건소 등과 연계해 주는 매칭을 지원한다. 매칭을 희망하는 의사는 시니어의사 지원센터 '닥터링크'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지역 의사 모집 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활동 지원, 시니어의사가 지역 필수의료 분야에서 계속 활동하는 경우 필요한 현장 맞춤형 리트레이닝(re-training) 교육 등도 실시한다.
정통령 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이번 사업을 통해 의사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의 공공의료기관과 보건소의 인력난 해소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다양한 경험이 있는 시니어의사들의 많은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kukoo@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