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 WHO 합동외부평가 시행…"공중보건 역량 증명해낼 것"
- 강승지 기자

(서울=뉴스1) 강승지 기자 = 질병관리청은 신종 감염병과 같은 미래 보건 위기에 대비해 범부처 대응 역량을 점검하고자 오는 8월 세계보건기구(WHO)가 주관하는 합동외부평가(Joint External Evaluation)를 시행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날 오전 국무총리 주재 제62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논의된 '글로벌 보건위기 대비 범부처 역량 평가 계획'에 따라 관계부처가 합동외부평가에 대비한 본격적인 준비에 나섰다.
WHO는 국제보건규칙(IHR) 이행 강화를 위해 각국의 공중보건 위기 대비・대응 역량을 객관적으로 검증하는 합동외부평가를 지난 2016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감염병 위기 대응 체계, 인수공통감염병 등 보건 관련 전 영역에 대해 5년 주기 평가를 권고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메르스 이후 시행된 국가 방역체계 개편을 바탕으로 2017년 처음으로 합동외부평가를 받았으며, 예방접종, 실험실 진단체계 등 대부분 영역에서 우수한 결과를 받은 바 있다.
평가 이후, WHO 권고에 따라 원 헬스 접근 강화를 위한 범부처 실무협의체를 구성하고, 항생제 내성 포털시스템 운영 등 공중보건 위기 대비·대응 기반을 마련했다. 8월 2차 평가는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변화된 대한민국의 공중보건 위기 대비·대응 역량에 대한 평가다.
예방, 탐지, 대응, 기타 등 4개 분야의 19개 평가 영역, 56개 세부 지표에 대해 우리나라가 작성한 자체 평가보고서(Self Assessment Report)를 바탕으로 외부평가단이 직접 방문 서면 심사, 발표 및 질의응답, 토론을 통해 지표별 점수를 확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평가 기간에 우리의 공중보건 체계에 대한 이해를 돕고, 부처간 협업 과정을 보여줄 수 있도록 평가단을 대상으로 현장 방문도 추진할 계획이다. 이미 지난 3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추진단을 구성해 분야별 자체평가보고서 작성 및 검토가 본격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WHO에 따르면, 이번 2차 평가는 1차 평가 대비 재정, 공중보건 위기관리, 의료서비스 제공, 감염예방 관리 영역을 보다 강조했고 코로나19 유행을 거치면서 전 세계적으로 건강 불평등이 심화된 점을 고려해 평가영역 전반에 걸쳐 형평성 제고 측면에 관한 질문이 추가됐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코로나19 이후 강화된 우리의 공중보건 위기 대응 역량을 확인하고, 감염병을 포함한 보건분야 전반의 취약한 부분을 점검하는 기회를 갖는 것은 미래 보건위기에 대비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8년 만에 시행되는 WHO 합동외부평가를 통해 보건안보 분야의 우리나라 위상을 높일 수 있도록 질병관리청을 중심으로 관계 부처가 평가 준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강조했다.
ksj@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