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공공병원 환자 5년 새 30% 줄어…병원 당 의료손실 156억

1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에서 열린 병원노동자 설문조사 결과 빛 현장증언 기자간담회에서 병원노동자들이 현장증언을 하고 있다. 2025.2.18/뉴스1 ⓒ News1 황기선 기자
1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에서 열린 병원노동자 설문조사 결과 빛 현장증언 기자간담회에서 병원노동자들이 현장증언을 하고 있다. 2025.2.18/뉴스1 ⓒ News1 황기선 기자

(서울=뉴스1) 강승지 기자 = 지역거점공공병원인 지방의료원·적십자병원들의 환자 수가 5년 새 30% 줄었다는 정부 집계가 나왔다. 코로나19 대유행 동안 감염병 전담병원으로서 일반 환자를 보지 못했던 탓에 지난해에만 평균 156억 원의 적자를 낳았다.

25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보건복지부에 받은 '지역거점 공공병원 경영분석'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41개 지방의료원·적십자병원 조정환자 수는 코로나19 유행 이전인 2019년의 72.7%에 그쳤다.

조정환자 수는 외래환자 숫자를 3으로 나눈 값에 입원 환자 수를 더한 수치로, 병원 진료 기능을 보여주는 지표다. 속초의료원(47.8%)·대구의료원(49.3%)·군산의료원(51.4%)·포항의료원(51.5%)·부산의료원(51.8%)의 지난해 환자 수는 2019년의 절반 안팎이었다.

전국 공공병원의 병상 가동률(자료가 없는 제주의료원 제외·2023년 기준)은 58.6%에 머물렀다. 영월의료원(35%)·천안의료원(38.3%)·수원병원(42%) 등 13개 병원은 병상을 절반도 채우지 못했다. 수술실 평균 가동률 역시 12%였다.

특히 지난해 41개 공공병원에 쌓인 의료 손실은 6391억 원으로 병원당 156억 원에 달했다. 이렇게 적자가 쌓이면 지난해 연말 기준 전국 공공병원의 보유 현금은 평균 9개월 뒤 바닥날 것으로 전망됐다.

병원들이 어려움을 겪게 된 데는 지난 2020년 상반기부터 정부가 전국 지방의료원을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지정했기 때문이다. 코로나19 환자 입원·진료에 주력하는 대신 일반 환자의 진료와 수술은 포기했었다.

현장에서는 공공의료기관의 이런 적자에 대해 정부가 보전해야 한다는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는 "지방의료원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공공의료 거점 기관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ksj@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