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고 병들면 누가 돌봐줄까…40%는 "요양보호사", 4%만 "자녀에 의지"
'스스로 나를 돌봐야 한다' 응답도 21%…'자녀' 언급은 4%에 불과
10명 중 8명 "내가 살던 데서 돌봐 달라"…다수 '세금 지출' 찬성
- 강승지 기자
(서울=뉴스1) 강승지 기자 = 국내 40세 이상 성인 10명 중 4명은 늙고 아프게 된다면 요양보호사에 의존하겠다고 생각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배우자가 돌봐줄 것이라는 사람은 10명 중 3~4명인 반면 자녀에 의존하겠다고 밝힌 사람은 드물었다.
재단법인 돌봄과 미래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의 만 40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25~30일 진행해 21일 공개한 '지역사회 돌봄에 대한 인식과 수요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39%는 '요양보호사가 돌볼 것'이라고 응답했다.
'배우자가 돌볼 것' (35%), '스스로 나를 돌봐야 한다'(21%)가 뒤를 이었고 '자녀가 돌봐줄 것'이라고 답한 사람은 4%에 그쳤다. 다만 배우자의 돌봄 여부에 대해 성별 간 차이가 있었다.
남성의 49%는 '내가 아프면 아내가 나를 돌볼 것'이라고 했지만, 여성은 22%만이 '내가 아프면 남편이 나를 돌볼 것'이라고 답하는 등 격차가 컸다. 여성은 요양보호사 등 돌봄 인력(48%)이나 본인 스스로(23%) 돌봄을 예상하는 비율이 남성(각 30%, 19%)보다 높았다.
'고독사 가능성이 있느냐'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과반인 58%가 답했고 10%는 '매우 높다'고 말했다. 선호하는 임종 장소는 '자택'이 48%로 가장 높았고 종합병원(31%), 요양병원(12%), 요양시설(7%)이 뒤를 이었다.
그러나 실제 임종 장소가 될 가능성이 높은 장소는 자택(21%)보다 종합병원이 29%로 높았다. 응답자의 93%가 연명의료 중단을 원했으며, 임종에 대한 결정은 가족과 상의(44%), 스스로 결정(44%), 가족 결정(12%) 순이었다.
'자주 교류하는 이웃이 있다'는 응답률은 20%에 불과했고, 이웃과의 관계는 가끔 인사만 나눈다는 응답이 39%, 특별한 교류는 없으나 얼굴은 안다는 응답이 27%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40%는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가족 외 도움을 요청할 사람이 없다'고 답했다.
선호하는 돌봄 장소와 관련해선 '현재 살고 있는 집'(47%)이나 '살던 지역 내 돌봄받기 좋은 집'(32%) 등 거주지에 살면서 돌봄받기를 원한다는 비율이 80%에 육박했다. 노인복지주택과 요양원은 각각 7%에 머물렀다.
요양시설이 긍정적이라고 답한 이는 58%였다. '친구를 사귈 수 있다'(74%) 등 긍정적 인식도 드러났으나 '학대가 빈번하다'(53%), '억지로 재우려고 약을 먹인다(54%)', '감옥 같은 곳이다(47%)' 등의 부정적 인식도 나왔다.
64%는 '노인·장애인 돌봄이 충분치 않다'고 했으며 '거주지 내 노인돌봄 서비스가 잘 제공되고 있다'고 말한 비율은 36%에 그쳤다. 필요한 서비스를 여러 개 꼽아보라는 질문에 '건강관리·의료'(61%), 우선 갖춰야 할 서비스에 '가정방문 돌봄'(71%)이 각각 많이 거론됐다.
노인돌봄 정책 중 최우선 과제로는 '자부담 경감'(42%) 이 가장 많이 언급됐다. 책임 주체는 '국가'라고 한 비율이 85%였고 노인돌봄 정책의 중요 가치로도 공공성(51%)이 가장 많았다. 노인돌봄을 위해 세금 지출을 늘리자는 데에는 85%가 찬성했다.
응답자의 41%는 '거주지역 내 병원 이용 시 불편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이런 불편 경험에 대해서는 '야간·주말 진료가 어렵다(75%)' 등이 많이 거론됐다. 노년기 돌봄을 위한 거주지 개선 사항으로도 '병원'이라는 응답 비율(36%)이 가장 높았다.
김용익 돌봄과 미래 이사장은 "이번 조사는 '돌봄통합지원법' 시행을 앞두고 지역사회돌봄에 대해 국민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무엇을 원하고 있는지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 실시됐다"고 말했다.
김 이사장은 "'돌봄통합지원법' 실시를 준비하고 있는 정책당국과 지자체가 조사 결과를 참고해 보건의료, 복지, 요양, 주거 등 지역사회돌봄 분야별로 활용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ksj@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