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 5개 단체, 복지부에 "인턴 수련기간 3개월 단축 필요"
- 강승지 기자
(서울=뉴스1) 강승지 기자 = 정부에 '전공의 5월 추가모집'을 건의했던 의료계 5개 단체가 이번 모집에 지원하는 인턴의 수련기간을 3개월 단축하는 특례 또한 요구하고 나섰다.
대한수련병원협의회 관계자는 22일 뉴스1에 "전공의 수련 관련 단체들이 오늘 보건복지부에 인턴 수련특례를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다"고 밝혔다.
대한수련병원협의회을 포함해 대한의학회, 국립대학병원협회, 대한사립대학병원협회,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 총 5개 단체가 함께 했다.
현재 규정상 6월부터 수련을 이어갈 인턴은 내년도 레지던트 지원 기준인 수련기간 12개월(군필자 10개월)을 충족하려면, 내년 5월말까지 수련해야 한다.
레지던트 1년차는 매년 3월부터 수련하는 만큼, 해당 일정에 맞출 수 있도록 수련 기간을 9개월로 단축해달라는 취지다.
이들은 "5월 추가 모집을 통해 선발된 인턴의 경우 6월1일 근무를 시작해 12개월 수련기간을 마칠 경우 5월 31일에 수련을 마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들이 2026년 레지던트 선발시험에 합격하더라도, 근무를 6월1일부터 시작해야 하며 이후 전공의 수련기간의 파행적 운영이 수년간 더 이어진다"고 전망했다.
이들은 "이는 5월 추가 모집에 인턴 지원자들이 응시를 꺼리게 되는 이유가 될 가능성이 높고, 2026년도 레지던트 1년차 선발 시 응시 인원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이들은 또 "내년 5월말까지 수련기간을 군복무 후 제대하는 지원자에 준해 추가 수련기간을 2월말까지로 단축해 달라"고 제안했다.
이들은 "지금도 인턴 기간 중 최대 3개월의 수련기간 단축을 허용하고 있고, 이 정도의 단축이 인턴 수련의 충실도를 해치지 않음이 수십년 간의 경험으로 확인되고 있다"고 했다.
특히 이들은 "인턴 수련을 재개하는 경우 핵심적인 임상술기를 충분히 익히고 기본적인 진료 능력을 차질 없이 갖출 수 있게끔 모든 수련병원들이 협조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또한 이후 전공의로서 임상실무 능력을 연송석 있게 갖출 수 있도록 최선의 교육방안을 마련해 시행하겠다"고 부연했다.
이들은 복지부에 '전공의 5월 추가모집'을 요청한 바 있다.
일부 사직 전공의들의 복귀 의사를 확인했다는 이유를 들며 "조속히 복귀해 환자 곁에서의 성장과 배움을 이어가달라"고 촉구하고 있다.
ksj@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