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관계 언급 최소화한 광복절 축사…'자신감이냐 숨고르기냐'
尹 대통령, 한일관계 대신 새 통일 비전 공개에 치중
- 정윤영 기자
(서울=뉴스1) 정윤영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광복절 경축사에서 한일관계에 대한 '메시지'를 내놓지 않아 눈길을 끌고 있다. 안정화된 한일관계에 대한 자신감이거나, 속도를 냈던 한일관계의 '숨 고르기' 국면일 수도 있다는 관측이 16일 제기된다.
윤 대통령은 전날인 15일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광복절 경축사에서 "작년 우리의 1인당 국민소득은 처음으로 일본을 넘어섰고, 2026년 4만 달러를 내다보고 있다. 올해 상반기 한국과 일본의 수출 격차는 역대 최저인 35억 달러를 기록했다"라고 언급했다.
이는 작년 연설에서 일본이 "가치를 공유하고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파트너"라며 굳건한 관계를 과시한 것과는 사뭇 다른 기조다. 기본적으로 한일관계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는 해석마저 가능하다.
이번 윤 대통령의 경축사는 한일관계보다는 새 통일정책을 소개하고 의미를 부각하는 데 치중했다. 때문에 자연스럽게 한일관계에 대한 언급이 없었던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동시에 한일 양자 간 시급한 현안이 없다는 대통령실의 판단도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특히 북한이 올해 초부터 남북관계를 '두 국가 관계'로 규정하면서 새로운 대남정책을 구사함에 따라 정부도 연내 주요 계기에 우리가 주도할 수 있는 통일 비전과 추진 방안을 밝힐 필요가 있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란 이야기도 있다.
현재의 한일관계에 대한 자신감이 바탕이 됐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한일은 여전히 역사 문제로 이견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작년 한일 정상의 '셔틀 외교' 재개 이후 양국의 분위기가 우호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최근 대통령실이 안보실장을 외교관에서 군인 출신으로 교체한 것도 대미, 대일관계가 이제 '안정화'됐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전해지기도 했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한일관계가 정상화됐고 매우 밀접한 관계로 가고 있다"라며 "그러한 맥락에서 광복절 경축사에서 구태여 한일관계를 언급하지 않겠다는 생각으로 보인다"라고 분석했다.
최은미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도 "한일 간 현안은 윤석열 정부 차원에서는 어느 정도 일단락된 부분이 있는 측면이 있다"라며 "이번 경축사에서 초점은 우리 사회 내부에서의 통합에 맞춰져 있고, 그런 맥락에서 통일을 주요 주제로 언급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yoonge@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