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사태로 미뤄졌던 공관장 인사 재개…초대 쿠바 대사 등 임명(종합)
신설 슬로베니아 대사·승격 주조지아 대사 임명
특임대사 및 주요국 대사 인선은 추후에
- 노민호 기자, 유민주 기자
(서울=뉴스1) 노민호 유민주 기자 = 정부가 '12·3 비상계엄 사태'로 미뤄졌던 재외공관장 인사를 재개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1일 첫 주쿠바 대사 등 11명에게 공관장을 임명했다.
지난해 공식 수교를 맺어 올해부터 대사관을 운영하는 쿠바에는 이호열 주멕시코 공사가 첫 대사로 부임하게 됐다. 이 대사는 학창 시절 일부를 중남미에서 보내 영어와 스페인어에 능통하다. 1996년 5급 경찰로 입직해 보건복지부 국제협력관, 외교부 다자경제기구과장 등 주로 경제 쪽에서 경력을 쌓아왔다.
역시 신설되는 주슬로베니아 대사에는 배일영 전 외교부 정보관리기획관을 임명했다. 분관으로 있다가 대사관으로 승격된 주조지아 대사엔 김현두 주필리핀 공사참사관이 낙점됐다.
주라트비아 대사엔 김종환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인도·태평양연구부장, 주불가리아 대사엔 김동배 아세안국장, 주세르비아 대사엔 김형태 주우크라이나 대사를 각각 임명했다.
박기창 주러시아 공사가 주우크라이나 대사에, 곽태열 충북 국제관계 대사가 주엘살바도르 대사에, 김준구 주미 공사가 주이탈리아 대사에, 강형식 전 주밀라노 총영사가 주케냐 대사에, 한병진 국립외교원 교수가 주파나마 대사에 임명됐다.
이번 인사엔 윤 대통령이 지난해 내정한 특임공관장은 빠졌다. 주인도네시아 대사로 내정된 방문규 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주중국 대사로 낙점된 김대기 전 대통령 비서실장 등이다.
특임공관장을 배제하고 직업외교관 임명만 단행한 건, '외교 공백 장기화' 리스크를 고려한 조치라는 분석이다.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에서 '최소한의 인사권 행사'를 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특임공관장은 직업외교관은 아니지만 임명권자가 보기에 그 나라와의 양자관계 중요성이나 현안을 풀어나갈 능력 등 다양한 잣대로 면밀히 검토해서 결정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지난주부터 올해 춘계 공관장 인사에 대한 보직 지원 접수 등 내부적인 절차를 개시했다.
아울러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이날 총영사 임명장 전수식에서 김영재 전 주미공사를 주토론토 총영사로 임명했다.
ntiger@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