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軍 정찰위성 5기 가동…'후속군수지원' 본격 착수
위성·운영지원 등 전방위 사업…국방우주인증센터도 구축
- 허고운 기자
(서울=뉴스1) 허고운 기자 = 우리 군이 '425사업'의 일환으로 내년부터 군사정찰위성 5기를 모두 정상 가동하고, 위성과 지상체 등의 본격적인 '후속군수지원'에 나선다.
25일 정부와 군 등에 따르면 군 정찰위성 4호기는 오는 4월에, 5호기는 그 이후 상반기를 목표로 미국 민간 우주업체 '스페이스X' 등과 일정을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1호기는 2023년 12월, 2호기와 3호기는 각각 지난해 4월, 12월에 발사됐다. 425사업은 올해까지 합성개구레이더(SAR) 위성 4기와 전자광학·적외선(EO·IR) 위성 1기 등 총 5기의 고해상도 중대형 정찰위성을 확보하는 사업이다.
위성 5기가 모두 전력화되면 우리 군은 약 2시간 간격으로 북한의 미사일기지와 핵실험장 등 주요 시설 정보를 위성사진·영상으로 수집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될 전망이다.
군 정찰위성이 방위사업청 주관으로 단계별 전력화가 진행되는 단계에는 '방위력개선비'가 주로 투입되는데, 2026년부터는 운용부대 주관으로 '전력운영비'를 이용해 후속군수지원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군 정찰위성 운영유지 사업은 EO·IR 1기, SAR 4기 등 위성체와 고정형·이동형 지상체 등은 물론 해외안테나 운영과 위성망 보호 업무 등 체계와 운영지원 전반에 걸쳐 이뤄질 전망이다. 이 과정에는 국방과학연구소,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도 참여한다.
이와 관련 국군정보사령부는 최근 '군 정찰위성 후속군수지원 체계 고도화 방안 정책연구' 용역을 발주했다. 이 정책연구는 후속군수지원 사업 범위를 명확히 하고, 사업별 진행 시점을 정하기 위해 이뤄진다.
군 관계자는 "국내외 위성 운영유지 사례를 분석하고 위성 운영유지에 필요한 사업을 평가할 것"이라며 "각각의 군수지원 사업별 국방중기계획과 예산에 반영할 시점도 연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후속군수지원과 관련한 계약 체결을 위해 기획재정부·국방부 등의 법령, 훈령을 준비하고 정부출연기관 등과의 기술협약 체결을 검토할 것"이라며 "후속군수지원과 관련해 필요한 사업은 올해 중 입찰 공고할 수도 있다"라고 덧붙였다.
우리 군은 정찰위성 운영에 이어 국방우주 역량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추가 사업도 진행한다. 방사청은 전남 고흥 지역의 우주산업 클러스터와 연계해 2030년 완공을 목표로 국방 전용 우주발사장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현재 우리나라는 기반 시설 부족으로 군용 고체 발사체를 활용한 발사가 불가능해 중대형 위성은 해외 업체를 활용할 수밖에 없다"라며 "국내에 국방 전담 지상 발사장을 구축하면 외국 발사체 의존도를 줄일 수 있고, 여기선 저궤도 초소형 정찰위성 등을 발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방사청은 국방우주인증센터도 구축할 예정이다. 이 센터는 위성에 탑재되는 여러 부품을 지상에서 시험해 성능과 안정성, 운용 신뢰성을 평가·인증할 수 있는 곳으로, 군 정찰위성 운영유지 사업에서도 핵심 역할을 맡을 것으로 보인다.
hgo@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