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최대 독립항쟁 '3·1운동'…3월의 독립운동에 선정
보훈부 "한민족 독립에 대한 전 세계 관심 불러일으켜"
- 허고운 기자
(서울=뉴스1) 허고운 기자 = 국가보훈부는 일제강점기 최대의 전 민족적 독립항쟁이었던 3·1운동을 '2025년 3월의 독립운동'으로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보훈부에 따르면 국권을 침탈당한 지 8년 6개월이 된 1919년 시작된 3·1운동에 앞서 이미 같은 해 1월부터 독립선언서 작성 준비 활동이 있었다. 종교계와 학생층의 개별적인 독립운동 추진 계획이 통합·단일화되면서 범국민적 독립운동으로 발전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기도 했다.
3월 1일, 민족대표들은 태화관에 모여 대한독립 만세를 제창한 뒤 일본 경찰에 연행됐다. 탑골공원에 모여있던 학생과 군중들은 선언서를 낭독하고 독립 만세를 연호한 뒤 종로 쪽으로 이동해 대규모 시위행진을 전개했다.
시위대열이 대한문 앞에 이르렀을 때는 서울 시내가 만세 소리와 군중들의 함성으로 뒤덮였다. 시위대 규모가 확대되면서 일부 대열은 미국 영사관과 총독부로 향했다.
3월 1일 점화된 독립운동의 불길은 점차 전국으로 확산됐다. 고종의 국장에 참례했던 여러 지역 인물들이 귀향해 3·1운동 소식을 전했고, 5월 말까지 전국에서 1700여회에 걸쳐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는 행사가 열렸다.
일제는 3·1운동을 제압하는 과정에서 총검을 사용해 시위자를 살해하거나 부상을 입혔고, 재판에 회부된 사람들에게 최고형인 사형을 선고하거나 거액의 손해배상금을 청구하기도 했다.
보훈부는 "3·1운동은 전국적·전국민적·전민족적인 독립운동"이라며 "일제 식민통치의 실상을 국제사회에 알리고 민족의 독립의지를 전 세계에 보여줌으로써 한민족의 독립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다른 국가의 민족운동과 독립운동에도 큰 영향을 줬다"라고 설명했다.
보훈부는 2025년 이달의 독립운동을 선정하기 위해 지난해 4월 23일부터 5월 22일까지 1개월간 보훈부, 광복회, 독립기념관 등의 홈페이지를 통해 국민의 추천을 받았다.
국민이 추천한 3월의 독립운동은 3·1운동 외에도 만민공동회 개최(1898), 안중근 의사 순국(1910), 중광단 조직(1911), 조선산직장려계 사건(1917), 조선국민회 결성(1917), 추산정 만세의거(1919), 북간도 용정 3·13만세 운동(1919), 파리장서사건(1919), 신민부 성립(1925), 재동경조선인단체협의회 결성(1927) 등이 있다.
hgo@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