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경주 APEC 핵심 성과로 '인공지능'·'인구구조 변화' 제시
외교부 "회원국들 '시의적절한 주제' 평가"
- 노민호 기자
(서울=뉴스1) 노민호 기자 = 정부는 올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의장국으로서 추진할 핵심 성과로 '인공지능(AI)협력'과 '인구구조 변화 대응'을 제시했다고 9일 밝혔다.
외교부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달 24일부터 9일까지 경주에서 개최된 APEC 제1차 고위관리회의(SOM1) 및 산하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제시했다.
'AI 분야'에선 AI 기술의 무한한 잠재력을 포용적, 지속 가능한 방향으로 구현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했다. '인구구조 변화 대응'과 관련해선 인구 문제를 위기가 아닌 기회로 활용하기 위한 협력 사업들을 제시했다.
회원국들은 우리가 제시한 두 가지 핵심 성과와 관련해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공통으로 직면한 도전과제들을 잘 반영한 시의적절한 주제"라고 평가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고위관리회의는 APEC 회원 간 협력 사안을 논의하는 고위급 협의체다. 매년 4회의 공식회의와 1회의 비공식회의를 개최하고 그 결과를 정상회의·합동각료회의에 보고한다. 이번에 우리나라는 이지윤 외교부 국제경제국 심의관이 고위관리 자격으로 참석했다.
이번 고위관리회의는 21개 APEC 회원 대표단과 사무국 등으로 구성된 약 2000여명의 인원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무역투자위원회(CTI), 경제기술협력운영위원회(SCE), 예산운영위원회(BMC), 경제위원회(EC) 등 4대 위원회를 비롯한 분야별 산하회의 총 24개도 개최됐다. 해당 기간 APEC 재무차관, 중앙은행 부총재 회의도 함께 열렸다.
아울러 윤성미 APEC SOM 의장과 이지윤 고위관리는 미국, 러시아, 중국, 일본, 페루, 말레이시아, 대만, 캐나다, 뉴질랜드, 태국, 싱가포르 등 고위관리들과 양자 면담을 가지기도 했다.
또한 전직 및 차기의장인 페루, 중국과는 '트로이카' 회동을 갖고 올해 APEC 성과 도출과 향후 연속성 확보를 위해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올해 APEC에서는 오는 5월 제주 제2차 고위관리회의, 7~8월 인천 제3차 고위관리회의가 예정돼 있다. 그 사이엔 해양, 인적자원, 교육, 통상 등 11개의 분야별 장관회의와 2개의 고위급회의도 열린다. 이후 하반기 정상회의를 끝으로 올해 일정을 마무리한다.
ntiger@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