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 전투기 날면 적이 아닌 국민이 대피하는 현실
'사상 초유'라던 포천 전투기 오폭 후 한 달 만에 기관총 낙하 사고
총장 지시도 먹히지 않았다…공군 기강 해이의 '전성기'
- 김예원 기자
(서울=뉴스1) 김예원 기자 = 이번엔 폭탄이 아닌 총이 떨어졌다. 우리 공군의 무기가 적이 아닌 국민을 향한다. 공군이 날면 안심하고 땅을 봐야 하는데 생명을 위협하는 불안감에 자꾸 하늘을 쳐다보며 몸을 움츠리게 된다.
지난 18일 공군의 KA-1 공중통제공격기의 기관총(기총포드·Gunpod)이 한밤중에 강원도 평창 지역 야산에 떨어졌다.
경기 포천에서 KF-16 전투기가 적진 폭격용 폭탄을 민가에 투하한 지 한 달여 만이다. 낙하물이 민가가 없는 산간에 떨어졌으니 망정이지, 포천 오폭 사고 때처럼 민가에 떨어졌다면 누군가엔 또 마른하늘에 날벼락이 될 뻔했다.
포천 오폭 사고의 주원인이 조종사의 좌표 입력 실수였던 것처럼, 이번에도 조종사의 조작 실수가 사고의 이유라고 한다.
공군은 포천 오폭 사고 이후 부대별 항공 무장을 다루는 모든 요원에게 안전 교육을 실시하고 확인 절차를 보완하겠다고 했지만 그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다. 공군은 또 재발 방지책을 세우겠지만, 신뢰하려 해도 할 방법이 없다.
공군은 당장 전 기종의 비행 중단이라는 초유의 결정을 내렸다. 이런 사고가 국민의 신뢰도 저하는 물론이고, 연합훈련 중지 등 국가 안보 문제까지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여실히 확인됐다.
이영수 공군참모총장은 포천 전투기 오폭 사고 때 조종사와 지휘관의 잘못을 질책하며 '책임의 가벼움'이라는 표현을 썼다. 조종사와 지휘관이 조금만 더 책임 있는 자세로 훈련에 임했다면 사고를 막거나 최소화할 수 있었다는 취지다.
총장의 말은 전혀 먹히지 않았다. 오히려 보란 듯이 사고를 더했다. 공군의 간부들은 이제 국민의 시선도, 총장의 지시도 '내 일은 아니다'라며 회피했던 마음이 일으킨 사태의 책임을 그저 반성할 뿐만 아니라 책임도 져야 할 것이다.
kimyewon@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