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연고 국가유공자 93위 국립묘지로 모신다…내일 합동 안장식
보훈부, 전국 공설봉안시설 안치 무연고자 전수조사
- 허고운 기자
(서울=뉴스1) 허고운 기자 = 국가보훈부는 전국 공설 봉안시설 무연고실에 안치된 국가유공자 유해 93위를 찾아오는 30일 합동 안장식을 거행한다고 29일 밝혔다.
보훈부는 지난해 9월 전국 공설 봉안시설 무연고실에 안치된 1만 7405명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했고, 국립묘지 안장 심의 등의 절차를 거쳐 안장 대상 국가유공자 73명을 확인했다.
또한 전수조사 이후인 지난달 무연고로 확정돼 통보된 인천가족공원 안치 국가유공자 20명까지 신속한 안장 심의를 통해 총 93위의 유해를 국립묘지로 모실 수 있게 됐다.
합동 안장식은 국립서울현충원을 비롯해 국립괴산·영천·산청·임실·제주호국원 등 6개 국립묘지에서 거행된다.
먼저 30일 오전 10시 합동 안장식의 시작을 알리는 의미로 강정애 보훈부 장관이 주관하는 행사가 서울현충원에서 열린다. 서울현충원에는 무공수훈자와 전상군경 등 국가유공자 유해 4위가 안장되며 안장식에는 대한민국무공수훈자회와 대한민국상이군경회 등 보훈단체와 공군, 육군 관계자 등 9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어 오후 2시부터는 전국 5곳의 호국원에서 관할 지방보훈청장이 주관하는 합동 안장식이 동시에 열린다. 괴산호국원에 72위, 산청호국원에 10위, 영천과 임실호국원은 각각 3위, 제주호국원은 1위의 국가유공자가 영면에 들게 된다.
보훈부는 전수조사를 통해 무연고 국가유공자로 확인됐지만 안장 심의에서 승인되지 않는 등의 이유로 국립묘지에 안장되지 못하는 유해에 대해서는 국가유공자임을 감안해 무연고실이 아닌 일반실에 안치할 수 있도록 전국 공설 봉안시설 등과 협의하고 있다.
강 장관은 "정부는 앞으로도 국가를 위해 희생·헌신하신 분들에 대한 명예 선양과 보상은 물론, 마지막까지 잊히지 않고 국가와 국민의 예우를 받으실 수 있도록 성심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hgo@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