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장병 유심 교체 위해 SK텔레콤과 협의 중"
"보안 대책 강구돼 있어…군사정보 유출과는 다른 문제"
- 허고운 기자
(서울=뉴스1) 허고운 기자 = 국방부가 SK텔레콤 이용자의 유심(USIM) 해킹 사태에 따라 장병들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업체 및 대리점 등과 협조하며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29일 정례브리핑에서 "전방에 있는 장병들, 또 대리점을 방문하기 어려운 병사들이 빠른 시일 내에 필요한 유심 교체를 할 수 있도록 각 부대별로 업체 또는 대리점과 협조하고 있다"라며 "국방부 차원에서도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전 대변인은 국방부가 장병들에게 개별적으로 유심을 교체하라고 지시했다는 언론 보도는 부인하면서 "장병 휴대전화는 기본적으로 보안을 유지할 수 있도록 대책이 강구돼 있어서 유심 해킹 사태와 군사정보가 유출되는 것과는 조금 차원이 다른 부분이 있다"라고 설명했다.
국방부와 주요 군사시설에 출입하는 인원은 휴대전화에 보안 통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해야 한다. 이 앱을 이용하면 사진 촬영, 와이파이, 위성항법시스템(GPS) 기능 여러 기능들이 제한을 받는다.
전 대변인은 "군이 별도로 유심을 보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장병들의 유심을 먼저 교체하기는 제한될 것"이라면서도 "SK텔레콤과는 이미 협의가 이뤄지고 있다"라고 전했다.
그는 군의 업무용 휴대전화와 관련해선 "유심을 전반적으로 교체해야 할지에 대해 정보기관 또는 우리가 자체적으로 판단하고 있고, SK텔레콤과도 협조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SK텔레콤은 지난 18일 밤 악성 코드로 인한 해킹 사실을 처음 파악했다. SK텔레콤은 이번 해킹으로 가입자의 유심을 식별하는 고유식별번호와 네트워크 연결용 키값 등이 유출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유심 정보가 해킹되면 단순 개인 정보 유출 피해를 넘어 명의도용, 금융 자산 탈취 등의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hgo@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