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린온' 헬기서 전투드론 운용…해병대도 '유·무인 복합' 도입 속도
미래전 준비하는 해병대…공중 돌격 드론 운용 개념 본격 연구
- 허고운 기자
(서울=뉴스1) 허고운 기자 = 해병대가 상륙기동헬기 '마린온'에서 전투드론을 운용하는 유·무인 복합체계(MUM-T) 도입에 속도를 내고 있다.
5일 군 당국에 따르면 해병대는 최근 '상륙기동헬기 기반의 드론 운용 최적화 기술 적용방안' 연구 용역을 발주했다. 연구는 계약 체결 후 6개월 동안 진행되며, 이르면 연내 그 결과가 나올 전망이다.
해병대는 한국형 기동헬기 '수리온'을 기반으로 한 '마린온'을 운용하고 있다. 이 헬기는 상륙함으로부터 병력과 장비를 수송하는 상륙 작전 외에도 지상 작전 지원을 위한 공중 강습, 도서 지역 국지 도발 대응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이번 연구는 해병 항공의 단계별 MUM-T 구현을 위한 '1단계'로, 마린온에서 전투드론 체계를 운용할 수 있는 현재나 가까운 미래에 적용 가능한 방안을 분석할 예정이다.
MUM-T가 적용되면 조종사가 탑승한 유인기와 무인기가 함께 임무를 수행하는 복합 편대를 운용할 수 있다. 감시, 정찰, 공격 등 위험 임무를 무인기가 분담하면서 헬기 본체의 생존성을 높이면서도 임무 수행 능력을 향상할 수 있다.
군 소식통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최근 전쟁 상황을 보면 무인체계의 적극적 활용을 통한 미래전 수행이 중요하다"라며 "해병대도 공중 돌격을 할 때 종심 지역에 대한 적시적인 정찰·타격수단을 확보해야 하는데, 드론이 그 역할을 맡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해병대는 신속한 전력화를 위해 마린온의 형상 변경이나 추가 감항인증 없이 드론을 운용할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동시에 2대 이상의 드론을 운용하는 군집 운용 방안도 검토 중이다.
또한 해병대는 무인체계와 통합된 공중 돌격 수행 개념을 재정립해 유·무인체계 임무 분담, 헬기에서의 드론 조종 및 통제 방식 등을 포함한 새로운 작전 개념을 수립할 계획이다.
마린온에서의 드론 운용은 현재 기술로도 신속하게 가능한 것으로 평가된다. 수리온 제조사인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지난해 2월 차세대 공중전투체계를 위한 MUM-T 개발에 1025억 원 투자를 결정하기도 했으며, 이번 연구에도 해병대에 도움을 줄 예정으로 알려졌다.
해병대는 마린온에 국산 소형 무장헬기 '미르온'의 항전·무장체계를 적용한 상륙공격헬기 전력화도 앞두고 있다. 상륙공격헬기는 마린온이 적지를 강습할 때 엄호를 맡게 되며, 지상 부대 요청이 있으면 화력 지원 임무 등도 맡는다.
군 소식통은 "상륙공격헬기에도 무인기 합동 작전 능력이 추가될 수 있다"라며 "해병대의 MUM-T 도입은 상륙작전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공지기동 해병대' 체계를 한층 강화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hgo@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