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신형 구축함 진수 실패 후 동해로 순항미사일 발사(종합)
이날 오전 수 발 발사…내부 기강 잡기·대비태세 '이상 무' 과시 의도
軍 "측면 진수 실패, 배 바다에 누워 있어…순항미사일은 사전 탐지"
- 김예원 기자, 유민주 기자
(서울=뉴스1) 김예원 유민주 기자 = 북한이 5000톤급 신형 구축함의 진수 실패 사실을 공개한 직후 동해상으로 순항미사일 수 발을 발사한 것으로 확인됐다.
22일 합동참모본부 등에 따르면 북한은 이날 오전 9시쯤 동해상으로 순항미사일 수 발을 발사했다. 이는 북한 노동당 기관지인 노동신문이 지난 21일 청진항에서 진행된 신형 구축함 진수 실패 사실을 보도한 직후로, 군 당국은 미사일 제원 등을 분석 중이다.
북한이 구축함 실패 사실을 공개한 후 바로 미사일을 발사한 것은 신형 다목적함 파손으로 우려되는 내부 기강을 정비하고 미사일 등 기타 군 전력의 대비태세엔 이상이 없음을 대내외적으로 과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풀이된다.
이번 구축함 진수 실패 사고와 순항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정부는 실시간으로 관련 동향을 인지, 추적해 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북한이 이례적으로 진수 실패 사례를 공개한 이유가 내부 기강 다잡기에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가 (사고 원인에 대해) '순수한 부주의'라고 표현했는데 부주의에 의한 실패를 엄중하게 문책해 내부 기강을 잡으려는 목적이 있는 게 아닌가 추정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성준 합동참모본부(합참) 공보실장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은 구축함을 측면 진수하려다 실패했으며, 구축함은 현재 수면 위에 넘어져 있는 상태"라고 설명했다.
측면 진수 방식은 배를 옆으로 밀어 수면에 띄우는 방식으로, 선체에 가해지는 충격이 드라이독 진수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 우리의 경우 중대형급 이상 함정을 진수할 때 드라이독에 물을 채워서 배가 자연스럽게 물에 뜨게 하는 부상진수 방식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합참은 북한이 진수를 시도한 구축함이 그 규모와 크기 등을 고려할 때 최근 공개한 다목적 구축함 '최현'호와 비슷하다고 평가했다.
한편, 노동신문은 이날 김 총비서가 지켜보는 가운데 청진조선소에서 전날 진행된 '최현'급의 두 번째 구축함 진수식에서 '엄중한 사고'가 발생해 배가 파손됐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진수 과정에서 미숙한 지휘와 조작 부주의로 대차 이동이 평행하게 이뤄지지 못했다"라며 "함미 부분의 진수 썰매가 먼저 이탈됐고, 일부 구간의 선저 파공으로 함의 균형이 파괴되며 함수 부분이 선대에서 이탈되지 못하는 사고가 발생했다"라고 설명했다.
건조된 배를 대차에 올려 경사로에서 측면으로 미끄러뜨려 수면 위로 올려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선수와 선미에 설치된 대차가 동시에 기동하지 못해 배를 수면에 띄우지 못했으며, 이로 인해 발생한 충격으로 구축함 하부 등이 상당 부분 파손된 것으로 보인다.
kimyewon@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