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안덕근 "국가 역량 총결집…美 관세 대응 '반도체 지원방안' 조속 마련"

긴급 대응부터 국내 투자, 양산 인프라, AI 반도체 R&D 지원 강화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3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민관 합동 미국 관세조치 대책회의에 참석해 모두발언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5.4.3/뉴스1 ⓒ News1 김도우 기자

(세종=뉴스1) 김승준 기자 =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0일 국내 반도체 산업과 관련해 "관세 전쟁은 기업 유치를 둘러싼 투자 전쟁이기도 한 만큼 국가적 역량을 총결집해 반도체 지원방안을 조속히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안 장관은 이날 서울 한국무역보험공사에서 반도체 업계와 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미국 정부는 지난 9일 세계 각국을 상대로 상호관세를 발효했다가 이날 90일 유예를 발표했다. 다만 90일 후 미국이 다시 상호관세를 발효한다면, 우리 수출은 큰 타격을 받게 된다.

특히 미국은 앞서 반도체에 대한 관세 도입도 예고해 관련 산업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다. 또 상호관세에 따른 정보기술(IT) 제품의 수요 위축으로 반도체 수출 여건에 간접적 영향이 있을 것으로 우려된다.

이날 간담회에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를 비롯해 팹리스, 디자인하우스, 소재·장비, 후공정 등 반도체 기업들이 참여했다.

간담회에서 업체들은 미국 내 생산에 한계가 있고 고부가 제품 시장에서 우리 기업의 높은 점유율 등을 고려할 때, 단기적으로 관세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통상환경 급변에 따른 불확실성 등을 우려하며 정부에 적극적인 대미 협의를 요청했다.

이외에도 업계는 △기반 시설 구축 사업 재정 지원 △세제·금융지원 강화 △분산 에너지 설비 설치 의무 규제 개선 등을 요청했다.

정부는 통상리스크 대응 방안으로 수출 애로 긴급 대응, 투자 인센티브 강화, 생태계 강화 등을 준비해 관계 부처 협의를 거쳐 조만간 발표할 계획이라고 안내했다.

수출 애로 긴급 대응 방안으로는 관세대응 119, 관세대응 바우처 등을 통해 관세·원산지 등의 컨설팅을 지원한다. 또 수입에 의존하는 소재·부품에 대한 비용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다양한 대책을 검토할 계획이다.

아울러 새로운 수요 창출을 위해 '국가 인공지능(AI) 컴퓨팅 센터'에 국산 반도체 활용을 확대하고, 중동·동남아의 AI 데이터센터 등 수출활로 개척을 위한 현지 네트워크를 지원할 방침이다.

투자인센티브 강화 방안으로는 반도체 클러스터 기반 시설에 대한 정부 지원 한도 상향, 송전망 지중화 비용 분담 등 추가 지원이 추진된다.

생태계 강화 방안으로는 소재·부품 기업의 개발 제품이 빠르게 양산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미니 팹 구축에 착수한다. 또 첨단기술 확보를 위해 첨단산업특화단지 전용 대규모 R&D 사업을 기획·추진한다.

팹리스 기업의 성장을 돕는 노력도 지속한다. 국내 AI 생태계 조성이 시급한 만큼, 자동차·로봇·방산·사물인터넷(IoT) 등 4대 분야 중심으로 1조 원 규모의 제품 탑재용 AI 반도체 개발 사업을 신속하게 추진하고,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도 신청할 계획이다.

안 장관은 "우리가 직면한 통상·공급망 리스크는 민-관이 온 힘을 합쳐 대응해야 한다"며 "정부는 각급에서 긴밀한 대미 협의를 지속 전개하겠다"고 말했다.

seungjun241@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