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 한-아세안 AKTD 개최…정책협력 플랫폼 본격 가동
통상본부장 "아세안과 정챕협력 프로젝트로 상호 발전 기대"
- 나혜윤 기자
(세종=뉴스1) 나혜윤 기자 = 한국과 아세안 주요 싱크탱크가 한자리에 모여 경제·통상 협력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4일 제주에서 '제1차 한-아세안 경제·통상 싱크탱크 다이얼로그(AKTD) 콘퍼런스'를 개최하고, 한국과 아세안 10개국이 참여하는 정책 협의 채널의 공식 출범을 알렸다.
대한상공회의소와 산업연구원(KIET) 주관으로 개최된 이날 행사에는 한국과 아세안 10개국의 싱크탱크 대표들을 비롯해 아세안사무국, 아세안·동아시아 경제연구소(ERIA), 아시아재단, 연세대, 한-동남아 정책협력센터 등 산·학·연 관계자 100여 명이 함께했다.
정인교 통상본부장은 환영사를 통해 "아세안은 우리나라의 3대 교역 파트너이자 2위 직접투자 지역으로, 경제통상 분야에서 상호 호혜적인 경제협력이 강화되어 왔다"면서 "다만 그간의 협력이 한-아세안 경제협력 전략이라는 큰 틀 안에서 체계적으로 추진되기보다는 한국이 잘할 수 있거나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분야 중심으로 산발적으로 이뤄져 온 측면이 있었다"고 말했다.
정 본부장은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성장한 한국과 아세안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협력 과제들을 효과적으로 발굴하고 추진하는 데 있어 AKTD가 시그니쳐 정책협력 프로젝트로 발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덧붙였다.
1부 포럼 세션에서는 권남훈 산업연구원장이 '국가발전을 위한 싱크탱크의 역할'이라는 주제발표에 이어 ERIA, 말레이시아 국제문제연구소(IKMAS),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등 3개 대표 기관들이 아세안의 경제·통상 발전 전략과 관련된 발표를 진행했다.
발표 이후에는 송경진 아시아재단 한국대표를 좌장으로 각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한 패널토의가 이뤄졌다.
2부 라운드테이블 세션에서는 AKTD의 기본 운영 방향과 연차별 세부 실행방안에 대해 구체적인 협의가 이뤄졌으며, 특히 산업연구원과 아세안 9개국 싱크탱크의 대표들이 서명한 AKTD 운영요령(Operational Guidelines for the AKTD)이 공식 채택됐다. 운영요령은 AKTD가 아세안의 경제발전 정책에 기여하는 지속가능한 협력 플랫폼으로 자리잡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산업부는 올해 9월 말레이시아에서 열리는 '제22차 한-아세안 경제장관회의' 계기 AKTD 공동연구 성과를 보고하고, 아세안의장국 및 사무국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후속 콘퍼런스 개최도 추진할 계획이다.
freshness410@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