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수출 '흔들'…정부 "美관세에 성장률 하향 불가피" 잿빛 진단(종합)
기재부, 5개월째 "경기 하방압력 증가"…美관세에 수출 둔화
"13.8조 필수 추경 신속 집행…2분기부터 집행 효과 예상"
- 임용우 기자
(세종=뉴스1) 임용우 기자 = 내수 회복 지연과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에 따른 대(對)미 수출 감소 여파로 인해 경기 하방 압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는 정부 분석이 나왔다.
이에 따라 정부는 연간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정부의 기존 전망치(1.8%)보다 낮은 수준에 머물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앞서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6%에서 0.8%로 하향한 바 있다.
기획재정부는 16일 발표한 '2025년 5월 최근경제동향(그린북)'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기재부는 "최근 우리 경제는 소비·건설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취약 부문을 중심으로 고용 애로가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 관세 부과에 따른 대외여건 악화로 수출 둔화 등 경기 하방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기재부는 지난 1월부터 5개월째 경기 하방 압력이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내수 회복 지연과 미국 관세 정책 등 대외 변수가 주요 이유다.
이에 기재부는 우리 경제가 올해 초 발표한 정부의 성장률 전망치(1.8%)를 달성하지 못할 가능성도 열어뒀다.
이미 다수의 해외 투자은행(IB)들이 우리나라의 성장률 전망치를 0%대로 낮춘 것에 이어 KDI도 지난 14일 올해 성장률을 0.8%로 전망했다. 지난 2월 전망치(1.6%)의 절반 수준이다.
조성중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주요국 관세 부과에 따른 통상환경 악화로 국제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와 교역·성장 둔화가 우려된다"며 "연간 GDP가 당초 저희가 전망했던 것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올 수 있는 압력이 많이 증가했다"고 진단했다.
지난 3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건설업·서비스업 생산과 소매판매는 감소했지만 광공업 생산이 늘어 상승을 견인했다.
광공업 생산은 전월 대비 2.9% 증가한 반면, 서비스업 생산은 0.3%, 건설업 생산은 2.7% 각각 감소했다. 전(全) 산업 생산은 0.9% 늘었고, 소매판매는 0.3%, 설비투자는 0.9%, 건설투자는 2.7% 각각 줄었다.
지난달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3.7% 증가했다. 다만 미국 관세 영향이 가시화하면서 일평균 수출은 24억 3000만 달러로 0.7% 줄었고, 대미 수출은 7%, 자동차 수출은 4%, 가전 수출은 5% 각각 감소했다.
조 과장은 "미국이 지난달 10일부터 관세를 부과하면서 (수출에도) 영향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미국이 관세를 90일 유예하면서 우려했던 것보다는 선방했다"고 말했다.
지난달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보다 19만 4000명 늘었고, 실업률은 2.9%로 전년보다 0.1%포인트(p) 하락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농산물 가격 하락과 국제유가 하락에도 축·수산물, 가공식품, 개인서비스 가격 상승 영향으로 전년 대비 2.1% 올랐다. 식료품·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도 2.1% 상승했다.
조 과장은 "미국 관세 부과에 따른 우리 기업 피해 지원과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13조 8000억 원 규모의 필수 추경을 신속히 집행하고, 일자리·건설·소상공인 지원 등 민생경제 회복 노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추경을 집행하면 연간 GDP가 0.1%p 상승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2분기부터 집행 효과가 분명히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phlox@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