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부산·경기 등 7곳, 분산에너지특구 최종 후보지 선정
6월 중 에너지위원회의 심의 거쳐 최종 선정
- 김승준 기자
(세종=뉴스1) 김승준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는 '분산에너지특화지역' 실무위원회를 열고 제주특별자치도, 부산광역시, 경기도, 경상북도, 울산광역시, 충청남도, 전라남도 등 7개 지자체를 분산특구 최종 후보지로 선정했다고 21일 밝혔다.
분산특구로 지정되면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따라 규제특례가 적용되어 전기사업법, 전력시장운영규칙 등으로 막혔던 에너지 신사업들이 허용된다. 아울러 지역 내 전력 생산·소비를 촉진해 전력 여유지역으로 수요를 이전하는 분산편익을 감안한 저렴한 전기요금이 적용되며 전력직접거래가 허용되기도 한다.
제주, 부산, 경기, 경북은 신산업 활성화형으로 분산특구 후보지가 됐다.
제주도는 전기차를 에너지저장장치(ESS)처럼 활용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부산은 에코델타시티에 들어설 데이터센터와 부산 항만에 전력을 제공하는 ESS 활성화 사업을 추진한다.
경기도는 ESS를 활용한 전기차 충전소 효율화, 경북은 암모니아 기반 수소엔진 발전설비로 생산된 무탄소 전력 공급 실증을 해나갈 방침이다.
수요유치형 분산특구로는 울산, 충남, 전남이 선정됐다.
울산에서는 지역 발전사가 전력직접거래를 통해 울산 미포산단에 다수 입주해 있는 석유화학 업계에 저렴하게 전기를 공급하고 연료비 연동제, 탄소배출권 연계 전기요금 등 다양한 요금제를 도입한다.
충남에서는 지역 발전사가 석유화학업계, 인근 산단 기업들에 저렴하게 전기를 공급한다.
전남은 대규모 인공지능(AI) 데이터 센터를 유치해 태양광 단지 활용도를 높인다.
분산특구 실무위원회를 통과한 7개 지역은 6월 중 에너지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선정될 예정이다.
이호현 산업부 에너지정책실장은 "지역의 에너지 수급 문제를 지자체, 지역 발전사, 산업단지 기업체, 시민들이 함께 풀어가는 다양한 모델들이 발굴된 것이 큰 성과"라며 "분산특구가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도록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추가 대책도 마련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seungjun241@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