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亞 '크립토 허브' 위상…싱가포르에서 홍콩으로[법인 코인 투자 시대]⑧

홍콩투자청도 블록체인 행사에 부스 마련…웹3 기업 법인 설립 지원
홍콩 증선위 위원장, '규제 명확성' 강조…"다른 국가에 비해 강점"

편집자주 ...이제 '대한민국 법인'도 비트코인을 산다. 해외서는 이미 일상이지만 뒤늦게 한국도 법인투자가 허용됐다. '개인' 투자자 일색인 한국 가상자산 투자 지형도에 일대 지각변동이다. 검찰은 범죄수익으로 몰수한 가상자산을, 대학은 기부받은 가상자산을 팔 수 있게 됐다. 가상자산 거래소도 그간 당국 눈치를 보느라 손대지 못한 보유 가상자산 현금화가 가능해졌다. 상장사 등 3500개 법인에 가상자산 투자 기회가 생겼다. '가보지 않은 길'이 열린 셈이다. '큰손' 법인의 등장은 어떤 지형 변화를 몰고 올까.

지난 18일부터 20일까지 열린 '컨센서스 홍콩' 현장에 참가자들이 모여 있는 모습.

(홍콩=뉴스1) 박현영 블록체인전문기자 = "홍콩은 가상자산뿐 아니라 웹3 산업을 전반적으로 육성시키려는 기조를 갖고 있습니다. 정부 기조 자체가 '웹3 경제 진흥'이니, 기관들이 들어올 수밖에 없는 구조죠."

최근 홍콩에서 열린 블록체인 행사 '컨센서스 홍콩 2025' 현장에서 만난 업계 관계자의 말이다.

기존 가상자산 허브를 자처했던 싱가포르에선 지난 2023년 가상자산에 부정적 입장을 표명해온 타르만 샨무가라트남 대통령이 당선됐다. 반면 홍콩은 재무장관부터 증권선물위원회(SFC) 위원장에 이르기까지 정부 고위 관계자들이 일제히 '웹3 진흥'을 외치고 있다.

정부기관도 블록체인 행사에 부스 마련…금융당국은 '親 가상자산'

싱가포르가 차지해온 '가상자산 패권'이 홍콩으로 넘어오고 있다. 한때는 가상자산 사업을 하려면 싱가포르에 법인을 세우는 것이 당연했지만, 이제는 홍콩 정부가 나서 가상자산 기업들의 홍콩 지사 설립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지난 18일부터 20일까지 홍콩에서 열린 세계 최대 블록체인 콘퍼런스 '컨센서스 홍콩'에서도 이 같은 현상을 엿볼 수 있었다.

우선 이번 컨센서스 홍콩에는 '홍콩투자청'의 부스가 마련됐다. 홍콩투자청은 해외 기업이 홍콩에서 법인을 설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부기관이다.

부스에서 만난 홍콩투자청 관계자는 "웹3 기업들의 홍콩 법인 설립에 대해 컨설팅을 해주기 위해 부스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홍콩에 법인을 세우는 데 어떤 이점이 있냐는 질문에는 "정부 규제 면에서 훨씬 크립토(가상자산) 친화적이다"라고 답했다.

구체적으로는 △정부가 웹3 경제 진흥에 미화 기준 640만달러를 투자하기로 한 점 △웹3 분야의 '책임 있는 혁신'을 위한 정부 태스크포스(TF)가 운영되고 있는 점 △홍콩금융관리국(홍콩 중앙은행, HKMA)과 중국인민은행을 포함해 글로벌 시중은행들이 함께 만든 중앙은행디지털화폐(CBDC) 프로젝트 '엠브리지(mBridge)'가 진행 중인 점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위한 법안이 완성돼 입법회에 회부된 점 △가상자산 장외거래(OTC) 라이선스 발급에 대한 국민 의견수렴이 진행 중인 점 등을 제시했다.

이 같은 법안 및 지원책 외에도, 정부 고위 관계자들의 입장 역시 홍콩이 새로운 가상자산 허브로 부상하는 데 일조하고 있다. 규제를 명확하고 일관되게 확립함으로써 가상자산 기업이 '정해진 요건만 지키면' 얼마든지 사업할 수 있도록 포문을 연 것이다.

홍콩 금융당국의 수장인 줄리아 렁(Julia Leung) 증권선물위원회(SFC) 위원장이 이번 컨센서스 홍콩 연사로 직접 나선 가운데, 그가 맡은 세션에서는 '홍콩이 싱가포르와 경쟁하고 있다고 생각하는지' 묻는 질문이 나왔다.

이에 대해 줄리아 렁 위원장은 "홍콩은 싱가포르뿐 아니라 다른 모든 도시들과 (가상자산 분야에서) 경쟁하고 있다"면서도 "다만 홍콩은 싱가포르 및 다른 국가에 비해 규제가 명확하다는 강점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다른 국가에서는 가상자산 기업들이 규제당국의 강도 높은 조사를 받곤 한다. 그러나 이런 조사는 기업들의 컴플라이언스 비용만 증가시킬뿐, 업계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홍콩은 그런 조사 대신 '규제 명확성'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3월 13일 홍콩의 컨벤션 및 전시센터 밖에서 중국 관광객들이 중국과 홍콩 국기 앞을 지나가고 있다. 2024.03.18 ⓒ 로이터=뉴스1 ⓒ News1 조소영 기자

업계도 규제 명확성 실감…'가상자산 허브' 도약 기대

이처럼 홍콩 정부가 '가상자산 허브' 자리를 굳히기 위한 행보를 이어가면서 업계에서도 이를 실감하고 있다. 특히 줄리아 렁 위원장이 강조한 '규제 명확성'이 향후 홍콩의 입지에 도움이 될 것이란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번 컨센서스 홍콩 출장에 나선 정구태 인피닛블록 대표는 "홍콩 정부는 2023년부터 산업 육성의 의지를 담아 가상자산 규제 프레임워크를 빠르게 설계했다"며 "블록체인 기업들이 마주할 수 있는 규제 불확실성을 신속하게 제거한 것 같다"고 전했다.

또 "일찌감치 법인, 기관 중심으로 산업을 재편해 글로벌 금융기관들이 진입할 수 있는 제도적 발판을 마련했음을 체감했다"고 덧붙였다.

구체적으로는 가상자산 사업 영역별로 규제를 마련한 영향이 컸다. 싱가포르보다 발전한 점이기도 하다.

이재호 법무법인 케이앤엘게이츠 변호사는 싱가포르와 홍콩의 차이점에 대해 "홍콩이 사업 섹터별로 규제를 더 정교하게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예를 들어 홍콩에서는 증권사가 가상자산 사업을 하고 싶을 경우, 원래 있던 라이선스에 어떤 요건을 추가로 준수해야 하는지 정해놨다"며 "사업자 입장에선 기존에 있던 라이선스에 좀 더 필요한 것 몇 가지만 준비하면 되니 상대적으로 규제 준수가 어렵지 않다"고 말했다.

hyun1@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