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U "올해 자금세탁방지 취약부문·고위험 기관 집중검사한다"
- 김재현 기자
(서울=뉴스1) 김재현 기자 = 금융정보분석원(FIU)과 자금세탁방지(AML) 검사수탁 기관들이 올해 AML 취약부문과 고위험 기관을 집중적으로 검사하기로 했다.
FIU는 5일 자금세탁방지 검사수탁기관 협의회를 열고 올해 감독·검사 운영 방향에 따른 기관별 연간 검사 운영계획을 논의했다.
협의회는 금융감독원, 행정안전부, 상호금융중앙회 등 11개 기관에 위탁된 AML 검사업무의 일관성을 확보하고 자금세탁 관련 주요 리스크 요인 등을 신속하게 공유하기 위해 운영하고 있다. FIU 원장 주재로 연 2회 열리며 연간 검사 실적과 검사계획, 중점 점검 사항 등을 논의한다.
금감원은 올해 FIU 제도이행평가 결과 관리실태가 미흡하거나 민생범죄 AML 공동 대응반 등을 통해 취약점이 발견된 업권을 중심으로 검사할 예정이다. 금융회사의 민생범죄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소비자 보호와 AML 부서 간 업무연계가 적절히 이뤄지고 있는지도 점검한다.
관세청은 환전 영업자를 자금세탁 고위험군과 저위험군으로 구분하고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고강도 검사를 진행하기로 했다.
행안부는 올해 중 새마을금고중앙회와 전체 단위 금고에 전사적 위험평가를 진행하고, 우정사업본부는 의심거래 미보고 사유의 적정성, 고객 확인 의무 이행의 충실성 등에 집중해 테마 검사를 추진한다.
중소벤처기업부, 제주특별자치도청 및 5개 상호금융중앙회 등도 FIU의 'AML 시스템 적정성 공통 검사기준'을 체크리스트에 반영하기로 했다.
박광 FIU 원장은 "민생범죄 취약업권에 대한 범죄자금의 쏠림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FIU와 금감원의 현장점검 실시 및 검사지원 방안 등에 대해 검토해 나가겠다"고 했다.
FIU는 민생침해 범죄 대응도 강화한다. 지난달 금감원, 금융기관과 함께 금융거래의 디지털화에 따른 가상계좌, 간편송금 악용 거래 등 신종 자금세탁수법에 대처하기 위한 '민생범죄 AML 공동대응반'을 구성했다.
대응반은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보이스피싱, 다단계 사기나 도박·마약 등 사회질서를 저해하는 범죄와 관련된 의심거래 유형을 테마별로 분석하고 업계에 유의사항을 전파할 계획이다.
kjh7@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