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대출 고삐 죄면서 금리는 낮춰야"…'엇박자 정책'에 은행권 고심

4일 서울 한 시중은행 대출창구. 2025.3.4/뉴스1 ⓒ News1 김명섭 기자

(서울=뉴스1) 김재현 기자 = 대출 정책을 둘러싼 은행권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대출금리는 내리되 대출 규모는 관리하라'는 금융당국의 모순적 주문 때문이다. 최근 주요 은행 가계대출이 한 달 새 3조 원가량 급증한 점도 부담이다.

"우물쭈물할 상황 아냐" 압박에… 주요 은행 대출 금리 줄줄이 인하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주요 은행들은 최근 대출 금리를 줄줄이 내리고 있다. 우리은행이 지난달 28일 주택담보대출 5년 변동(주기형) 상품의 가산금리를 0.25%P 낮추며 첫발을 뗐다.

NH농협은행은 6일부터 가계대출 금리를 최대 0.40%P 인하한다. 하나은행도 오는 10일부터 대면 주택담보대출 상품(혼합형)의 가산금리를 0.15%P 낮추기로 했다. 신한은행도 조만간 가계대출 가산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속 금융당국의 압박이 은행권을 움직였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지난달 24일 기자간담회에서 "이제는 대출금리에 기준금리 인하를 반영할 때가 됐다"고 했다.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도 지난달 26일 '2025년 가계부채 관리 방안' 사전 브리핑에서 "우리은행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에 맞춰서 대출금리를 선제적으로 시차 없이 내렸다"며 "시차를 가지고 우물쭈물할 상황은 아니다"고 거들었다.

'이자 장사'라는 비판 여론도 대출 금리 인하에 한몫했다. 5대 금융지주는 이익 기반인 예대금리차(예금과 대출금리 차이)에 따른 마진이 커지면서 순이익 18조 8742억 원에 달하는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대출 금리 내리라면서 총량 관리 주문…월별 대출량 모니터링 강화

은행권은 가계대출 총량 관리도 숙제다. 대출금리를 내리면 덩달아 대출 수요가 늘어나는데도 금융당국은 여전히 부채 증가 속도조절을 강조하고 있어서다. 앞서 금융위원회는 올해 가계부채 증가율을 경상성장률 예상치인 3.8% 이내로 관리하겠다는 방침을 밝히며 시중은행에 가계대출 증가율을 1~2%대로 유지하라고 주문했다.

상반된 정책에도 은행권은 가계대출 총량 목표를 유지하기 위해 월별 매출량 모니터링을 강화하기로 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는 다주택자의 신규 주택구입자금 대출이나 갭투자(전세 낀 대출) 방지용 조건부 전세자금 대출 취급을 제한하는 등 비가격적 조치도 강화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대출 금리는 내리고 대출 총량은 조절해야 하는 딜레마를 풀기 위해 금리 인하 폭과 다양한 총량 관리 대응책 고민에 안간힘을 쓰는 상황"이라고 했다.

심상찮은 가계대출 증가세…"관리할 수 있는 수준"

최근 가계대출 증가세가 심상찮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달 말 기준 736조 7519억 원으로 지난 1월 말보다 3조 931억 원(0.4%) 늘었다. 이는 가계부채가 심각했던 지난해 9월(5조 6029억 원 증가) 이후 최대치다.

특히 5대 은행의 2월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전월 대비 3조 3835억 원 증가한 게 눈에 띈다. 시장에서는 서울시가 이른바 '잠삼대청'(잠실동·삼성동·대치동·청담동) 등 4개 지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한 것이 주담대 수요를 자극한 것으로 보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2월 가계대출이 급증하면서 부채 관리 부담이 있긴 하다"면서도 "지난해 중단했던 대출 빗장이 새해 들어 풀린 영향이 더 크고 현재 관리도 가능한 수준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했다.

kjh7@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