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금융당국, 이번주 패스트트랙으로 홈플러스 사태 檢 이첩

회생 준비하며 채권 발행, '투자자 기망' 판단
김병주 MBK 회장 등 주요 경영진 포함 예상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산업노조 지부 회원들이 14일 서울 종로구 MBK파트너스 앞에서 열린 'MBK가 책임져라 확대간부 결의대회'에서 피켓을 들고 있다. 2025.4.14/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

(서울=뉴스1) 박승희 기자 = 금융당국이 이번 주 초 '홈플러스 사태' 관련자들을 검찰에 넘긴다.

20일 금융투자업계와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이번 주, 홈플러스와 대주주인 MBK파트너스 경영진의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를 긴급조치(패스트트랙) 방식으로 검찰에 통보할 예정이다.

검찰 통보 대상에는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김광일 MBK 부회장 겸 홈플러스 공동대표, 조주연 홈플러스 대표 등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10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 간담회 이후 취재진을 만나 "이미 유의미한 사실관계가 확인돼 검찰·증선위와 소통을 준비 중"이라며 "절차에 따라 4월 중 조치를 취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금융당국은 MBK파트너스와 홈플러스가 기업회생 신청을 인지한 상황에서 단기 채권을 발행했는지 여부를 집중 조사해왔다.

기업회생이 신청되면 금융채무가 동결되기 때문에, 회생 신청을 준비하면서 채권 등을 발행할 경우 투자자를 기망하는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를 받을 수 있다.

MBK파트너스와 홈플러스는 2월 28일 신용등급이 강등된 이후 회생절차를 진행했다고 주장해 왔지만, 금융당국은 이를 거짓으로 판단했다. 실제로 신용등급이 강등되기 직전인 2월 25일, 홈플러스는 820억 원 규모의 전자단기사채(ABSTB)를 발행해 논란을 빚었다.

금감원은 이달 초 중간 조사 발표에서, 신용등급 하향 가능성 인지 및 기업회생 신청 경위에 대한 MBK파트너스의 해명이 사실과 다른 정황이 있다고 밝혔다.

금융당국은 홈플러스 사태 관련 자료를 검찰에 넘긴 이후에도 압박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금감원은 MBK파트너스에 이어 산하 투자자문사인 스페셜시튜에이션스(SS) 에 대해서도 검사를 확대했다. 또한 홈플러스의 회계처리기준 위반 가능성을 발견하고, 강제성이 있는 감리 조사로 전환했다.

seunghee@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