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인천공항서 전기차 자동충전 로봇 실증 나선다
3D 카메라·AI 알고리즘 기반…충전기 들어 차량 충전구 체결
인천공항, 국내 최대 인프라 보유…업무용 친환경차로 피드백
- 김성식 기자
(서울=뉴스1) 김성식 기자 = 현대자동차(005380)·기아(000270)가 인천국제공항공사와 손잡고 인공지능(AI) 기반 전기차 자동충전 로봇 기술 검증에 나선다.
현대차·기아는 이를 위해 인천국제공항공사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협약에 따라 현대차·기아는 국내 최대 친환경차 인프라를 보유한 인천국제공항공사와 손잡고 공항 환경에 최적화된 전기차 자동 충전 로봇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대차·기아가 개발한 전기차 자동 충전 로봇은 충전기를 들어 차량 충전구에 체결해 충전을 시작하고,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기를 뽑아 제자리에 돌려놓는 외팔형 로봇이다. 3D 카메라 기반의 AI 알고리즘을 적용해 충전구를 정확히 인식하고 충전기를 체결한다.
이같은 기술 실증을 위해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은 전기차 자동 충전 로봇과 소프트웨어 설루션을 제공하고, 인천국제공항의 운영 환경에 최적화된 서비스 운영 시나리오를 발굴해 적용할 예정이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업무용 친환경차를 대상으로 전기차 자동 충전 로봇을 실제 운영하며 사용성을 검증하고, 공항공사 직원들의 피드백을 수집해 공유할 예정이다.
양측은 항만, 철도 등 다양한 교통 인프라에 전기차 자동 충전 로봇 서비스가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선도적인 협력 모델을 만들어 나갈 방침이다.
인천국제공항은 관내 업무용 차량을 모두 친환경차로 전환한 데다 2026년까지 1110기의 전기차 충전기를 갖출 예정이어서 자동 충전 로봇 서비스를 활용하는 최적의 장소로 꼽힌다.
현대차·기아는 그간 진행한 실증사업에서 국가 보안 최고 등급 지역인 공항 시설에 이르기까지 전기차 자동 충전 로봇 사업 영역을 확장하는 기반을 갖추게 됐다.
양희원 현대차·기아 사장은 "미래 모빌리티 기술의 실질적 효용을 검증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어떤 환경에서도 제약 없이 사용 가능한 맞춤형 자동 충전 설루션을 통해 더욱 편리하고 향상된 이동 경험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이학재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은 "인천공항의 여객 서비스 향상과 운영 효율성 제고가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인천공항은 우수한 인프라와 기술력을 기반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디지털 공항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seongskim@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