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종꿀벌 지켜라"…LG, 화담숲서 토종꿀벌 100만 마리 육성
100만 마리 시작으로 매년 두 배 증식 목표
토종벌 명인·사회적 기업과도 협업해 꿀벌 보호
- 최동현 기자
(서울=뉴스1) 최동현 기자 = LG(003550)는 최근 LG상록재단이 운영하는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의 생태수목원인 화담숲 인근 정광산에 토종 꿀벌 서식지를 조성하고 자연 생태계를 살리기 위한 '토종 꿀벌 키우기' 사회공헌 사업에 나섰다고 19일 밝혔다.
꿀벌은 꽃가루를 옮기는 수분(受粉)을 통해 전 세계 식량의 90%를 차지하는 100대 농작물 중 70종 이상의 작물 생산에 관여하고 있다. 꿀벌이 사라지면 작물 생산량이 줄어 식량 부족은 물론 자연 생태계까지 위협받을 수 있다.
토종 꿀벌은 2000년대 들어 개체수가 급감하며 멸종 위기에 처한 상태다.
2010년대 꿀벌 전염병인 낭충봉아부패병으로 약 98%가 사라지며 멸종 위기에 처했다. 다행히 낭충봉아부패병에 강한 개량종 개발과 민관의 노력으로 개체 수를 회복했지만, 기후 변화로 2021년부터 매년 수십억 마리의 꿀벌이 다시 줄고 있다.
이에 LG는 토종 꿀벌인 '한라 토종벌' 100만 마리를 시작으로 200만 마리, 400만 마리 등 2027년까지 매년 개체 수를 두 배 이상 증식한다는 목표다.
꿀벌 서식지 인근 화담숲은 꿀을 품은 나무를 뜻하는 밀원수(꿀샘 나무)와 꽃 등 밀원 식물 자원이 풍부해 꿀벌의 개체 수가 증가해도 안정적으로 먹이 활동을 이어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 있다. 이에 LG는 안정적인 국내 꿀벌 생태계 조성을 위해 밀원 식물의 수를 늘린다는 계획이다.
LG는 대한민국 토종벌 명인 1호 김대립 명인과 양봉 사회적 기업인 비컴프렌즈와 협업해 토종 꿀벌 보호와 증식에도 나선다.
40년 간 토종 꿀벌을 육성하고 보급하는 데 힘써온 김대립 명인은 토종벌 인공 분봉법, 여왕벌 관리 장치, 다기능 토종벌 출입문 등 토종 꿀벌 사육 관련 기술 특허 9건을 개발해 등록한 바 있다.
김대립 명인은 "꿀벌이 사라지면 인류의 먹거리가 사라질 수도 있다는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며 "LG와 함께 토종 꿀벌 보호를 위한 다양한 기술과 노하우를 아낌없이 지원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LG와 김대립 명인, 비컴프렌즈는 올 6월까지 꿀벌 100만 마리가 서식지에 잘 정착할 수 있도록 유지 관리에 집중하고, 400만 마리까지 증식에 성공하면 꿀벌을 양봉 피해 농가에 지원할 계획이다.
김지영 비컴프렌즈 대표는 "발달장애인들에게 양봉은 단순한 직업이 아니라 사회와의 소통의 창구가 될 수 있다"며 "LG와의 협업이 발달장애인들에게 사회와의 소통과 자립의 길을 열어주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LG 관계자는 "앞으로도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환경, 생물 다양성을 보존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생태계 조성을 위해 앞장서겠다"고 강조했다.
dongchoi89@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