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내수부진 힘들다" 식품업계 울상…K-라면은 "사람 찾기 힘들어"

면류 업계, 지난해 4분기 경영 애로사항 "인력확보" 꼽아
K-푸드 수출 역대 최대…"저출산·고령화로 인력난 가속화, 지원 필요"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에 라면이 진열돼 있다. /뉴스1 ⓒ News1

(서울=뉴스1) 이형진 기자 = 지난해 우리 식품 기업들을 가장 어렵게 했던 것은 '내수부진'이었지만, K-푸드로 수출에 애를 썼던 라면·빙과 업체들은 '인력확보'에 가장 어려움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3일 '2024년 식품산업 경기동향조사 종합보고서 4분기 동향 및 2025년 1분기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음식료품 제조업체의 경영 애로사항 중 내수부진(71.2%)이 가장 높은 순위를 나타냈다.

해당 조사는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한국갤럽조사연구소에 의뢰해 식료품 제조업 또는 음료 제조업 1561개 사업체에 대해 지난해 12월 16일부터 31일까지 진행됐다.

면류 업체 10곳 중 9곳 "인력 확보 어려워"

최대 3개까지 중복 응답을 허용한 경영 애로사항에 대한 조사에서는 내수 부진에 이어 원자재·원재료 확보(51.2%), 인력확보(45.8%) 등을 어렵다고 꼽았다.

다만 세부 업종으로 구분하면 면류·마카로니 및 유사식품 제조업(90.3%), 비알코올 음료 및 얼음 제조업(84.0%), 낙농제품 및 식용 빙과류 제조업(75.6%)은 '인력확보'가 가장 큰 애로사항이라고 답했다.

국내 소비 위축 문제도 있지만, K-푸드 수출 전면에 나서고 있는 라면, 빙과 등의 업체는 해외 수요를 감당할 인력 확보에 더 어려움을 느끼는 것이다.

ⓒ News1 윤주희 디자이너

'불닭' 시리즈로 인기를 끌면서 한때 증권가에선 '삼비디아'로도 불렸던 삼양식품은 지난해 반기 보고서 기준으로 직원 수가 2180명으로 전년 대비 11.5% 늘면서 인재들을 흡수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상황에서도 식품기업들의 제조시설은 대부분 비수도권에 위치해 있고, K-라면을 이끄는 삼양식품(003230)·농심(004370) 등은 본사 위치도 각각 하월곡동·신대방동 등 소위 서울 중심가에서는 다소 떨어져 있다.

과거 한 식품업계에서 근무했던 김 모 씨(35)는 "헤드헌터를 통해 라면 업체 경력 이직을 제안받았는데, 출퇴근 거리가 용이하지 않아 포기하게 됐다"고 전했다.

K-푸드 수출 역대 최대…"인력난 지원 필요"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해 케이-푸드 플러스(K-Food+) 수출액이 130억 3000만 달러(6.1%)를 기록하면서, 역대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고 밝혔다.

특히 라면 수출이 12억 4850만 달러로 31.1% 증가하면서 수출 증가를 견인했다. 이외에도 과자류 7억 7040만 달러(17.4%), 음료 6억 6270만 달러(15.8%), 쌀가공식품 2억 9920만 달러(38.4%) 등의 호재를 보였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K-푸드 수출 지원은 전방위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믿는다"면서도 "저출산·고령화로 인력난은 갈수록 심해질 텐데 이에 대한 다각적인 지원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hjin@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