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이후 걷힌 먹구름"…소비심리 개선 기대감 높이는 유통가
3월 소비자심리지수, 계엄 당시보다 5p 이상 올라
새 정부 기대감 반영…백화점 위주 실적 개선 전망
- 문창석 기자
(서울=뉴스1) 문창석 기자 = 경기 침체가 지속되는 가운데 대통령 선거일이 6월 3일로 확정되면서 유통업계는 과거 대선처럼 소비심리가 반등할 것이란 기대가 커지고 있다. 특히 사치성 소비재의 매출 비중이 높은 백화점을 중심으로 실적이 회복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3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3.4로 집계됐다. 비상계엄이 선포됐던 지난해 12월(88.2)과 비교하면 5.2포인트(p) 오른 수치다.
비상계엄 직후에는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11월 100.7이었던 지수가 한 달 만에 12.5p 급락할 정도로 얼어붙었지만, 국회 탄핵안 가결과 헌법재판소 탄핵 심판 등을 거치면서 새 정부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되며 소비심리가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
과거 대선 때도 선거 직후에는 소비심리가 개선되는 등 지금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18대 대선이 있었던 2012년 12월 소비자심리지수는 98.2였지만 박근혜 전 대통령의 취임 직후인 2013년 3월에는 104.2로 3개월 만에 6p 올랐다.
또 박 전 대통령의 탄핵 심판이 진행됐던 2017년 2월 소비자심리지수는 94.4였지만 탄핵이 인용된 3월에는 97로 한 달 만에 2.6p 올랐다. 대선이 진행되는 동안 점점 상승세를 보였고 문재인 전 대통령이 당선된 다음 달인 6월에는 112.6까지 치솟았다.
과거 사례를 고려할 때 오는 6월 대선 이후에도 정치적 불안정성 해소 및 새 정부에 대한 기대감에 소비심리가 회복될 것이란 낙관론이 나온다. 새 정부가 내놓을 민생 지원 정책과 경기 부양책도 소비심리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특히 소비심리에 좀 더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백화점이 조기 대선에 대한 기대가 크다. 다만 온라인과의 경쟁이 더 큰 문제인 대형마트, 출점 점포 수가 실적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편의점은 소비심리 개선 효과가 다소 제한될 것이란 의견이 우세하다.
유정현 대신증권 연구원은 "소비심리 호전이 대형마트와 편의점, 슈퍼마켓 실적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경기 민감 품목인 의류 등 사치성 소비재의 매출 비중이 높은 백화점은 조기 대선으로 인한 소비심리 개선의 수혜가 가장 클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대외 변수를 고려해야 한다는 신중론도 나온다. 대외 의존도가 높은 한국은 해외발(發) 경기침체가 발생하면 내수 소비가 독자적으로 호전되기 어렵다.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전방위적 상호관세 부과로 경기침체 가능성이 크게 높아졌지만, 지난 9일에는 유예 방침을 밝히는 등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상황이다.
유통업계에선 기대감을 보이면서도 아직은 신중한 입장이다. 한 백화점 관계자는 "조기 대선이 소비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란 기대가 있다"면서도 "소비심리가 대선 이후 잠깐 반등한다 해도 장기적으로는 하락 추세인 점은 변함이 없는 만큼, 드라마틱하게 개선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themoon@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