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끝나면 소비 심리 회복할까…내수 진작 기대하는 이유
계엄 이후 지갑 꽉 닫혔지만…2000년대 5번 대선 후 소비심리 평균 3%p↑
국회 통과한 추경·올려놓은 제품 가격…"내수, 대내외 불확실성 피난처"
- 이형진 기자
(서울=뉴스1) 이형진 기자 = 지난 4월 4일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이 결정되면서 정국은 조기 대선에 진입했다. 지난해 말 고환율에 원자재 가격 압박을 겪었던 국내 식음료 업체들은 대선 이후 내수 진작의 기대를 거는 모습이다.
7일 통계청 따르면 지난해 말 계엄 사태 이후 12월 소비자심리지수는 88.2로 전월 100.7 대비 큰 폭으로 하락했고, 최근까지도 1월 91.2, 2월 95.2, 3월 93.4로 낙관적으로 보는 기준인 100 아래를 밑돌고 있다.
계엄 사태 전에도 꽉 닫힌 지갑에 내수 중심 식품 기업들의 실적은 긍정적이지 못했다.
대표적으로 아직 해외 매출 비중이 10%에 불과한 오뚜기(007310)는 지난해 매출 3조5391억 원으로 전년 대미 2.5%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2220억 원으로 12.9% 줄었다. 또 다른 내수 중심 업체인 hy는 지난해 매출 1조355억 원, 영업이익 582억 원을 기록하면서 각각 전년 대비 4.7%, 14.9% 내린 수치를 기록했다.
그나마 수출 비중이 큰 업체들은 K-푸드의 인기로 내수 침체를 선방했지만, 국내 식품 사업 시장은 여전히 좋지 않았다.
업계에서는 대선이 끝나면 소비 심리가 회복되는 것을 기대하는 눈치다. 신한투자증권에 따르면 2000년 이후 5번의 대선 기간 동안 대선 직후 평균적으로 소비심리는 3%p 개선됐다.
비슷한 정국인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정국과 비교해도, 시위와 집회가 장기화하는 2016년 말에는 주요 소비재 시장이 부진했으나, 2017년 대선 직후 가파른 반등을 보였다는 평가다.
대선을 앞두고 추가경정예산 같은 재정 정책도 소비를 진작시킬 수 있다는 평가다. 국회는 지난 1일 13조 8000억 원 규모의 추경안을 통과시켰다.
앞선 산불 사태로 인한 재해·재난 대응 목적도 컸지만, 정부가 제출한 재원에 민생 지원 목적으로 8000억 원을 증액해 소비 진작에 대한 기대가 크다. 여기에 새 정부가 들어서면 신정부 정책 수행을 위한 추가적인 재정 정책도 가능하다.
지난해 12월 이후 주요 식품업체들은 고환율 압박, 원재료가 부담, 정치권의 리더십 부재 등에 따라 제품 가격을 인상해 왔다. 유통 구조상 아직 인상분이 1분기 실적에 반영되긴 어렵지만, 6월 대선을 전후해서 소비 심리까지 회복되면 올해 하반기에는 수익성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는 평가다.
조상훈 연구위원 등 신한투자증권 기업분석부는 "대선 직후 소비자들은 정부 정책에 기대감을 가지며 소비를 늘리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내수 업종은 늘 성과를 보여왔다"며 "최근 대내외 불확실성 하에서 피난처로 내수 업종의 저력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hjin@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