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 침체에 멈춘 백화점…롯데·현대·신세계 '우울한 1분기'
백화점 사업 매출, 주요 3사 모두 전년보다 감소
소비 부진에 이상기후 겹쳐…"차별화가 탈출구"
- 문창석 기자
(서울=뉴스1) 문창석 기자 = 소비 침체가 심화되면서 국내 주요 백화점들의 1분기 실적도 전년보다 소폭 감소하는 등 제자리걸음을 하는 모습을 보였다. 업계는 경기 침체 상황에도 투자를 늘려 차별화를 추진하는 등 경기 회복 사이클을 기대하는 분위기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신세계는 올해 1분기 국내 백화점 사업의 매출이 6590억 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0.8% 감소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079억 원으로 5.1% 감소했다.
신세계 관계자는 "럭셔리 워치 및 하이 주얼리 부문은 고신장했지만 패션 사업은 부진했다"며 "여기에 주요 점포의 리뉴얼에 따른 감가상각비가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적이 제자리걸음을 한 건 현대백화점도 마찬가지다. 현대백화점은 올해 1분기 백화점 사업(별도 기준)에서 전년 동기 대비 0.8% 줄어든 5890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영업이익도 972억 원으로 5.7% 감소했다.
롯데백화점도 국내 백화점 사업에서 1분기 7753억 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 동기 대비 1.4% 감소했다. 1분기 영업이익은 1279억 원으로 39.0% 증가했지만, 이는 사업 호조가 아닌 지난해 1분기 희망퇴직으로 인한 일회성 비용의 기저효과로 해석된다.
국내 백화점의 부진은 최근 수년간 이어진 경기 침체 및 소비 부진의 연장선이라는 게 중론이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백화점 매출은 전년 대비 1.4% 증가했는데, 이는 2021년(24.1%), 2022년(15.7%)의 증가율과 비교해 대폭 줄어든 수치다.
이 같은 흐름은 올해도 이어지는 추세다. 한국은행 4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3.8로, 장기 평균보다 낙관적임을 의미하는 100을 5개월 연속 하회했다. 최근 금융연구원은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기존 2.0%에서 0.8%로 하향 조정하기도 했다.
특히 올해는 이상기후로 인해 단가가 높은 의류 매출이 감소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 통상 2~3월은 간절기 패션이 백화점 매출을 주도하는데, 3월까지 이어진 추운 날씨로 인해 간절기 의류 매출이 크게 부진했다는 것이다.
백화점 업계는 경기 침체에도 투자를 늘려 차별화를 확보하는 게 탈출구라고 보고 있다. 신세계의 경우 1분기 강남점 식품관 및 옛 제일은행 본점을 리뉴얼해 '고급화'에 나섰고, 롯데백화점도 국내 주요 점포의 리뉴얼과 신규 사업을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오는 6월 대선 등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되면 소비 심리가 다소 개선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서현정 하나증권 연구원은 "국정 불안 요인 해소, 내수 부양 기대감 등 소비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형성되고 있다"며 "전통적인 오프라인 업태인 백화점은 이에 대한 수혜를 기대할 수 있고, 경기 민감 채널이라 탄력적인 실적 회복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themoon@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