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계란 한 판 8000원 코앞…생산량 늘었는데 가격 상승, 원인은 담합?

특란 30구 도매가, 3년 8개월 만에 최고 수준
정부, 생산자 간 가격담합 가능성 염두

13일 서울 시대 한 대형마트 내 진열된 계란. 2025.5.13/뉴스1 ⓒ News1 허경 기자

(서울=뉴스1) 문창석 기자 = 최근 계란 산지 가격이 치솟으면서 약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원인이 마땅치 않은데도 나타난 '에그플레이션'(egg+inflation)의 배경에 생산자 담합이 있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 유통업계는 마진을 최소화하며 소비자 가격 낮추기에 나섰다.

20일 축산물품질평가원 축산유통정보에 따르면 이날 기준 특란 30구 평균 도매가는 5505원으로, 전날보다 106원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2월 20일 가격(4363원)과 비교하면 3개월 만에 26% 급등한 것이다.

해당 조사에서 계란 가격이 5500원을 넘어선 건 고병원성 AI(조류인플루엔자)로 산란계가 대거 살처분되면서 계란 가격 폭등을 겪은 2021년 9월 1일(5508원) 이후 3년 8개월 만이다.

도매가가 상승하자 소비자 가격도 7000원대에 진입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지난 19일 기준 특란 30구(일반란) 전국 평균 가격은 7052원으로 조사됐다. 제주의 경우 7980원으로 계란 한 판에 8000원을 뛰어넘을 태세다.

수급 문제없는데도 단기간 가격 급등…생산자 담합 가능성

문제는 가격 상승의 이유가 명확하지 않다는 점이다. 통상 신학기가 시작되는 매년 3월에는 급식에 사용하는 계란 수요가 증가하면서 가격이 소폭 오르지만, 이처럼 단기간에 25% 이상 급등한 건 이례적이라는 의견이 많다.

지난겨울 확산한 AI로 산란계를 살처분해 계란 생산량이 줄었기 때문이라는 견해도 있지만 사실과 다르다. 축산유통정보에 따르면 올해 등급판정을 받은 계란은 △1월 1억 1231만 개 △2월 1억 1692만 개 △3월 1억 2519만 개 △4월 1억 3058만 개 등 매월 증가했다. 5월(1~19일)도 8333만 개로, 4월을 넘어설 전망이다. 계란 생산량이 계속 늘어났는데도 가격이 올랐다는 얘기다.

일각에선 올해 초 AI 파동으로 계란 대란을 겪은 미국에 국내 생산 계란을 수출했기 때문이라는 해석도 나오지만, 지난 3월 미국 수출 물량(40t)은 국내 월평균 계란 생산량(6만 8000톤)의 0.06%로 미미해 큰 의미가 없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정부는 계란 수급에 문제가 없는데도 도매가격이 급등한 현상에 대해 생산자 간 담합이 있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7~9일 계란 농가를 상대로 현장 점검을 실시한 결과, 계란 산지 가격이 수급 여건 변화를 넘어 과도하게 상승했다는 결론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기획재정부도 지난 16일 김범석 장관 직무대행 겸 1차관 주재로 열린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 농림축산식품부의 현장 점검 결과를 논의하고, 생산자에 대한 추가 점검 및 처벌 가능성 등을 언급했다.

'브라질發' 가격 파동 촉발 가능성…"가격 안정화 제도 필요"

문제는 앞으로다. 최근 AI 파동을 겪고 있는 브라질산 식용란의 수입이 전면 금지되면서 계란 가격이 잡히지 않을 우려가 크다. 국내 산지 가격이 안정되지 않고 브라질 수입 금지 여파까지 겹칠 경우 계란 가격이 지금보다 더 오를 가능성도 있다.

이 경우 계란을 주재료로 사용하는 일반 식당부터 베이커리 제품 등 공산품까지 가격이 줄줄이 오르고, 식품 물가 상승이 전체 물가까지 끌어올리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고 우려한다. 소비 심리가 악화된 상황에서 밥상에 자주 오르는 계란 가격마저 오를 경우 가계에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

유통업체들은 정부 지원 및 자체 할인 행사를 통해 소비자 가격 낮추기에 나섰다.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특란 30구(일반란) 전국 평균 가격은 2월 19일 6680원에서 지난 19일 7052원으로 3개월 동안 5.6% 올랐다. 같은 기간 도매가가 26% 상승한 점을 고려하면 최대한 마진을 줄이며 대응하고 있다는 평가다.

대형마트업계 관계자는 "장바구니 물가 부담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계란마저 오르며 소비자 부담이 크다"며 "정부 차원에서 산지 가격 안정화를 위한 제도 마련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themoon@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