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파트너' 대만 지목한 젠슨 황…K-반도체 소외감 더 커진다
젠슨 황 "폭스콘·TSMC·대만 정부와 AI 슈퍼컴 짓겠다"…신사옥도 발표
'AI 벨류체인' 갖춘 대만, 메모리만 있는 韓…"납품국 전락할 수도" 경고
- 최동현 기자
(서울=뉴스1) 최동현 기자 =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19일 인공지능(AI) 생태계를 함께 구축할 파트너로 대만을 지명했다. 폭스콘·TSMC와 손잡고 대만에 AI 팩토리를 짓겠다고 선언한 것이다. 엔비디아가 대만과의 밀착을 강화하는 만큼, 상대적으로 한국 AI 기업은 '엔비디아 생태계'로부터 한 걸음 더 소외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젠슨 황 CEO는 이날 대만 타이베이 뮤직센터에서 열린 '컴퓨텍스 2025' 기조연설에서 "폭스콘과 대만정부, TSMC, 엔비디아는 대만의 AI 인프라와 AI 생태계를 위해 첫 번째 대형 AI 슈퍼컴퓨터를 건설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황 CEO는 엔비디아의 대만 신사옥 '콘스텔레이션'(별자리) 부지도 깜짝 발표했다.
업계에선 젠슨 황 CEO가 엔비디아가 꿈꾸는 'AI 생태계'의 둥지이자 파트너로 대만을 점찍었다는 평가가 나왔다. 칩부터 패키징, 서버, 통합까지 AI 슈퍼컴퓨터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모든 공급망을 대만에서 해결하고, 궁극적으로는 'AI 주권'을 대만으로 가져온다는 구상이다.
젠슨 황 CEO가 대만을 주목한 배경에는 압도적인 'AI 밸류체인 파워'가 있다. 대만은 세계 1위 파운드리(위탁생산) TSMC, 세계 1위 AI 서버 제조사 폭스콘, 세계 1위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제조사 미디어텍 등 최정상급 파운드리와 팹리스를 보유하고 있다. 엔비디아 AI 서버 생태계에 참여하는 대만 기업만 10곳에 달한다.
AI 반도체→AI 서버→AI 하드웨어로 이어지는 AI 생태계가 대만 한 국가 내에서 완성될 수 있는 셈이다.
글로벌 AI 주도권을 틀어쥐고 있는 엔비디아가 'AI 생태계 거점'으로 대만을 택하면서, 상대적으로 한국의 소외감은 더 커지게 됐다. 고대역폭메모리(HBM) 세계 1위인 SK하이닉스가 위상을 떨치고 있지만, 사실상 메모리 외에는 엔비디아 공급망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지분은 미미하다.
이종환 상명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 교수는 "한국이 반도체 강국이라는 표현은 일종의 환상이다. 엄밀히는 메모리만 강국이고, 이마저도 엔비디아의 AI 칩에서 봤을 때 여러 부품 중 하나"라며 "핵심은 비메모리(시스템반도체)인데, 한국의 역량이 크게 부족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올해 1월 발표한 'AI 시대 팹리스 등 시스템반도체 성장 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글로벌 시스템반도체 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2.3%, 대만은 7.7%로 집계됐다. 보고서는 2027년 한국의 점유율이 1.6%로 하락하는 반면, 대만의 점유율은 8.1%로 올라 격차가 더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엔비디아가 TSMC와의 결속을 더 높일수록 파운드리 시장에서 삼성전자의 입지가 더 줄어들 우려도 있다. 이미 TSMC와의 삼성전자의 반도체 매출 격차는 10조 원 이상 벌어진 상태다. 이 교수는 "엔비디아의 무게 중심이 한층 더 대만에 쏠리게 된 것"이라며 "삼성전자 파운드리와 TSMC의 격차가 한참 벌어져 있는 현실도 뼈아픈 대목"이라고 했다.
이 교수는 "한국 정부와 기업이 메모리에만 안주하는 경향에서 벗어나야 한다. 시스템반도체가 없이는 (한국 기업은) AI 시대에서 부품만 납품하는 신세가 될 수 있다"고 경고하면서 "지금이 절체절명의 시기이고, 총력을 기울여야 할 때"라고 당부했다.
dongchoi89@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