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분리막 캐파, 2035년에 두 배로…중국발 공급과잉 우려"
2035년 생산능력 995억㎡ 전망…시장 규모 599억㎡보다 커져
- 박종홍 기자
(서울=뉴스1) 박종홍 기자 = 리튬이차전지 분리막 시장이 2035년까지 연평균 12% 이상 성장하지만 중국 업체들의 공격적인 증설로 생산 능력은 시장 규모를 초과할 것이란 우려가 제기된다.
13일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의 '2025 리튬이차전지 분리막 기술 동향 및 시장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리튬이차전지 분리막 시장은 2035년 599억㎡(128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 규모가 39억㎡(22억 달러) 수준이었던 2020년에 비해 연평균 12% 이상 성장할 것이란 전망이다.
글로벌 분리막 생산 능력은 2024년 486억㎡에서 2035년 995억㎡로 두 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 성장 대비 생산 능력이 포화 상태일 것으로 전망되는 셈이다.
SNE리서치는 "(생산 능력의) 폭발적인 성장세로 시장의 과잉 공급 문제를 심화시킬 가능성이 커 업계의 우려를 낳고 있다"고 말했다.
이같은 흐름은 중국 업체들이 대규모 증설로 주도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글로벌 분리막 1위 제조 업체인 창신신소재(SEMCORP)를 비롯한 중국 제조사들이 공격적인 확장을 통해 글로벌 캐파(CAPA·생산능력)를 확장해 나가고 있다는 것이다.
2024년 기준 중국 업체의 분리막 출하량은 약 75%에 달하며 창신신소재는 5년 연속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중국 분리막 업체들의 공격적 투자와 증설로 어려움을 겪는 국내 분리막 업계는 신규 에너지저장장치(ESS) 및 북미 시장 선점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SKIET는 2028년 상업 생산을 목표로 북미에 분리막 공장을 건설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며, WCP도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유지를 전제로 2029년 북미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1096pages@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