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윤진식 무협 회장, 美 공화당 의원 만나 韓 기업 지원 요청

韓 기업 대미 투자 기여 강조…"의회 차원 협조·지원해달라"
美 의원들 "韓, 미국의 중요 파트너…상호관세 정책 고려 예상"

윤진식 한국무역협회 회장이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영 김(Young Kim) 캘리포니아 연방 하원의원이 면담을 마치고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 = 한국무역협회)

(서울=뉴스1) 박기호 기자 = 윤진식 한국무역협회(무협) 회장이 지난 14일부터 17일(현지 시간)까지 미국 캘리포니아와 애리조나를 방문, 대미(對美) 아웃리치 활동을 전개했다.

19일 무협에 따르면 윤 회장의 이번 아웃리치 활동은 미국 남부주(州)를 중심으로 이뤄졌으며 이 지역의 주요 인사들과의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우호적인 통상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또한 이 지역은 우리나라 기업의 투자와 진출이 활발해 연방정부의 통상정책에 대해 우리 기업들과 유사한 입장을 공유하고 있다고 무협은 전했다.

윤 회장은 영 김(Young Kim) 캘리포니아 연방 하원의원과의 만남을 시작으로 에이브러햄 하마데(Abraham Hamadeh), 앤디 빅스(Andy Biggs) 애리조나 연방 하원의원, 스티브 몬테네그로(Steve Montenegro) 애리조나 주하원 의장 등과 잇달아 만나 한미 경제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한국 기업에 대한 적극적인 협력을 요청했다.

윤 회장은 2017년 트럼프 행정부 1기부터 지난 8년간 한국의 대미 투자액이 총 1600억 달러에 달하고 2023년과 2024년 연속으로 그린필드 투자 1위를 기록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한국 기업의 대미 투자가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는 점을 설명했다.

또한 미국 연방정부의 관세 부과와 대미 투자 기업에 대한 보조금 축소 등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의회 차원의 적극적인 협조와 정책지원을 요청했다.

특히,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상·하원 합동연설에서 반도체법(CHIPS Act) 폐지 가능성을 언급한 점을 들어 "한국 기업들의 반도체 투자 보조금 축소에 대한 우려가 크다"며 업계의 고충을 전했다.

이에 영 김 의원은 "현재 트럼프 행정부의 통상 정책은 아직 초기 단계이며 특히 반도체법 및 IRA 폐지는 의회 의결 절차를 거쳐야 하므로 관련 정책이 명확해지는 데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에이브러햄 하마데 의원은 "업계의 인센티브 축소 우려를 체감하고 있으며 우리 지역구 내 대규모 반도체 투자와 관련해 행정부와 활발히 협의 중"이라며 "트럼프 행정부도 외국자본 프로젝트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어 반도체법 개정이 유연하게 진행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앤디 빅스 의원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은 무역적자 해소, 세수 확보, 중국 견제, 외교 관계 재정립 등의 복합적 이슈를 고려한 전략적 포석"이라며 "한국은 일본, 대만과 더불어 미국의 중요한 파트너이며 한미 FTA로 사실상 무관세 교역이 이뤄지고 있다는 점 등이 다음 달 예정된 상호관세 정책에 고려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윤진식 회장은 18일부터는 미국 텍사스, 테네시 및 아칸소주를 돌며 주지사·경제개발청장 등 주요 주정부 인사를 만나 우리 기업에 대한 주정부 차원의 협조를 요청할 예정이다.

goodday@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