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KAI, '6G 저궤도 위성통신 조립부터 발사까지 맡는다

'주관업체' 선정…2030년까지 3200억 투자, 지구 전역 통신 서비스
차세대 항공기와 연계해 위성 수출…KT·ETRI 등과 기술 개발 협력

저궤도 통신위성 <자료사진>(한국항공우주산업 제공). 2025.04.28.

(서울=뉴스1) 김성식 기자 = 한국항공우주산업(KAI·047810)은 28일 정부가 추진하는 '6G 국제표준 기반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개발 사업'에서 위성 본체 및 체계 종합 개발 업체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국내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개발을 통해 핵심 기술을 자립하고 글로벌 시장 진출 역량을 확보하기 위해 추진됐다. KAI는 위성 본체를 개발하고 통신 탑재체를 포함한 체계 종합을 수행한다. 위성체 개발부터 조립, 시험 및 발사까지 도맡는 것이다.

사업 기간은 올해부터 2030년까지 총 6년이며 총 3200억 원을 투입해 저궤도 통신위성 2기와 지상국·단말국으로 구성된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한다. 고도 300~1500㎞를 도는 저궤도 통신위성은 기존 이동통신 지상망의 제약을 극복해 산간·사막·해상·항공기 등 지구상 모든 곳에 통신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KAI는 항공기 수출과 연계한 위성 패키지 수출 모델을 기반으로 독자 통신망 구축을 원하는 해외 국가들과 전략적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저궤도 통신위성은 KAI가 미래 사업으로 추진 중인 차세대공중전투 체계와 미래비행체(AAV), 인공지능(AI) 파일럿 기반 다목적 무인기 등을 운용하기 위한 핵심 분야다.

강구영 KAI 사장은 "대한민국이 2030년 세계 최초 6G 저궤도 통신위성 개발에 성공해 통신 강국의 위상을 또다시 떨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쏟아붓겠다"며 "이를 통해 KAI 또한 6G 저궤도 위성 기반의 유무인복합체계를 구축하고 위성 수출 사업화에도 도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KAI는 미래가치가 높아지고 있는 6G 저궤도 통신위성 개발을 위한 국내 산업생태계 조성과 글로벌 주도권 확보를 위해 국내 다양한 기관들과 협력관계를 구축해 왔다.

지난해 10월, KAI는 통신사 KT, 위성통신 전문기업 KT샛(KTsat)과 통신위성 시스템 개발 및 6G 저궤도 위성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3사는 '케이 큐브드(K³) 얼라이언스'를 구성해 우주·통신·서비스가 융합된 전략적 협력체계를 통해 개발 성공은 물론, 사업화와 글로벌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 1월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업무협약을 체결해 6G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에 대한 전략적 기술 협력을 기반으로 차세대 통신 핵심기술을 공동 개발하고 기술 검증을 추진하기로 했다.

seongskim@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