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2027년 첨단 항공엔진 독자 개발 사업, 정부 예산 편성 시급"

한화에어로 첨단엔진사업단장, 우주항공 리더 조찬 포럼서 발표
"항공엔진 국산화, 국산 항공기 수출 확대 기여"

김원욱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첨단엔진사업단장이 30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11회 우주항공 리더 조찬 포럼'에서 발표하고 있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제공)

(서울=뉴스1) 이동희 기자 = 2040년대 초 차세대전투기 전력화를 위해서는 적어도 2027년 첨단 항공엔진 독자개발 사업을 시작해야 하고, 이를 위해 빠른 정부 예산 확보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원욱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 첨단엔진사업단장은 30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11회 우주항공 리더 조찬 포럼'에서 "차세대전투기 전력화 시기, 엔진 독자개발에 걸리는 기간을 고려했을 때 사업타당성조사 및 정부 예산 확보가 시급하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포럼은 한국우주항공산업협회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공동으로 개최, 산․학․연․관 관계자 100여 명 참석했다.

정부는 올해 초 '첨단 항공엔진 개발 기본 계획안'을 발표하고 14년간 3조35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1만6000파운드급(애프터버너 장착 시 2만 4,000파운드) 성능의 항공엔진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첨단 항공엔진은 차세대전투기와 고성능 무인기 개발을 위한 핵심기술이다. 우주항공업계는 기술 개발에 성공할 경우 국산 항공기 수출 확대, 국내 항공제조 및 엔진 산업 생태계 조성, 공군 운영유지비 절감 및 가동률 향상 등 다양한 측면에서 파급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정부는 스텔스 기능과 유무인 복합체계가 적용된 차세대전투기 'KF-21 블록 3'의 전력화 시기를 2040년대 초로 예상한다. 개발 소요 기간이 약 14년임을 고려할 때, 늦어도 2027년에는 개발에 착수해야 전력화 및 엔진 개발 완료 시점을 맞출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우리나라가 T-50, KF-21 등을 수출하려면 미국의 기술로 개발된 엔진을 탑재하고 있어 미국의 수출 승인을 받아야 한다. 주요 부품 공급망도 해외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김 단장은 "항공엔진 원가 비중의 약 80%는 소재 및 부품 단위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첨단 항공엔진을 개발하면 기존 수입에 의존하던 소재와 부품들을 국내 100여 개 기업이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항공기 핵심 구성품인 항공엔진을 국산화하면 우리나라 항공기 수출도 확대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 10년간 항공엔진 분야에 1조8000억 원을 투자하고 현재 약 200명의 연구개발 인력을 확보했다. 인력은 2028년까지 500명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김 단장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항공엔진 개발-생산-MRO까지 전 주기에 걸친 통합 역량을 보유한 국내 유일의 항공엔진 전문 기업으로서 사명감을 가지고 첨단 항공엔진 개발에 임할 것"이라고 말했다.

yagoojoa@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