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53.5% "고물가에 고통"…민생회복 1순위 과제 '물가 안정'
한경협 설문조사, 농축산물·생필품 가격 안정 시급
양질의 일자리 창출, 주거 안정도 주요 정책 과제
- 금준혁 기자
(서울=뉴스1) 금준혁 기자 = 국민 절반 이상이 고물가 및 생활비 부담 증가에 따른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과 비교하면 올해 4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6.4% 상승했다. 이에 국민들은 우선적으로 필요한 정책 과제도 물가 안정을 꼽았다.
한국경제인협회는 20일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민생경제 안정을 위한 대책' 조사를 실시한 결과 국민 과반(53.5%) 이상이 '고물가 및 생활비 부담 증가'를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았다고 밝혔다.
한경협은 고물가가 장기화하고 있어 국민들이 체감하는 물가수준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2025년 4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6.38포인트(p)로 2020년 100 대비 16.4% 상승했다.
이어 △일자리 문제 및 고용불안(11.3%) △주거비 상승 및 전·월세 부담 증가(10.0%) △경기 둔화 및 내수 위축(7.2%) △소득 정체 및 실질임금 감소(6.8%) 순으로 집계됐다.
이에 국민들이 가장 바라고 있는 민생 회복 과제도 물가 안정(60.9%)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물가 안정은 △30대(56.3%) △40대(63.5%) △50대(64.9%) 등 모든 연령대가 민생 회복 1순위 과제로 꼽았다. 특히 50대의 응답 비율이 가장 높았다.
물가 안정을 위해 정부가 우선적으로 추진할 정책에 대해서는 농축산물·생필품 가격 안정(35.9%)을 꼽았다. 이어 △공공요금 부담 경감(21.8%) △환율 변동성 완화·수입 물가 안정(17.2%) △세금 부담 완화·생활비 지원 강화(17.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민생 회복 2순위 과제인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우선 정책과제로는 '청년·여성·고령층 맞춤형 고용 지원 강화'라는 응답(31.9%)이 가장 많았다.
3순위인 주거 안정을 위한 우선 정책과제는 '주택공급 확대·부동산 시장 안정'의 응답 비율(36.3%)이 가장 높았다.
이밖에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교통·물류망 등 인프라 개선, 소상공인·중소기업 등 취약계층을 위해 내수 활성화 등의 정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고물가와 경기침체 장기화로 국민들의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됐다"며 "체감물가와 직결되는 식료품·생필품 가격 안정을 위해 농산물 수입선 다변화, 유통구조 개선 등을 추진하고 민간의 일자리 창출 여력 확충으로 가계의 소득 창출 능력을 제고해야 한다"고 말했다.
rma1921kr@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