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D "27형 QD-OLED 출시로 시장반향…주요고객사 먼저 찾아"
27형 UHD QD-OLED 출시직후 주력제품 등극…1Q15만대 출하
220PPI 27형 5K 기술도 공개…'기술장벽' 구축 강화
- 김민석 기자
(타이베이=뉴스1) 김민석 기자
"과거 OLED가 고급제품에 탑재됐다면 이제 중간 단계까지 내려왔습니다. 고객사들도 OLED에 더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강형구 삼성디스플레이 IT상품기획그룹 그룹장이 21일 열린 '컴퓨텍스 2025' 삼성디스플레이 전시관 미디어 투어에서 "삼성전자를 비롯해 에이수스·Dell·MSI 등 주요 제조사가 OLED 패널을 탑재한 제품을 출시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올해 처음 '컴퓨텍스 2025'에 참가하면서 프라이빗 전시관을 열었다. 일반 관객이 아닌 사전에 예약된 고객사만 참관할 수 있다.
삼성디스플레이가 올해 초 선보인 27형 UHD(3840x2160) 해상도 QD-OLED 패널은 시장에서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27형 UHD QD-OLED의 1분기 출하량은 약 15만 대를 기록했다. 이는 1분기 전체 모니터용 OLED 출하량의 27%로 주력 제품군으로 자리잡았다.
27형 UHD 제품은 픽셀 밀도가 160PPI(Pixel Per Inch·1인치당 픽셀 수) 이상으로 선명한 화질을 자랑한다. 픽셀 밀도는 픽셀의 조밀한 정도로 화질 수준을 보다 직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전시관서 220PPI 27형 5K 제품도 공개했다.
삼성디스플레이에 따르면 자발광 디스플레이에 고해상도를 구현하는 기술력은 QD-OLED의 전면발광 구조와 관련이 깊다.
기존 자발광 디스플레이는 빛이 기판 방향으로 발산돼 빛의 일부가 가려져 개구율이 하락하는 문제가 있었지만, QD-OLED는 기판의 반대 방향으로 빛이 나와 빛이 가려지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다. 개구율이 높은 만큼 픽셀 크기가 작아도 같은 밝기를 낼 수 있고 그만큼 고해상도를 구현하는 데 유리하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27형 자발광 모니터에 UHD 고해상도를 구현한 것은 삼성디스플레이가 구축한 '기술 장벽' 사례 중 하나로 꼽힌다. 삼성디스플레이 관계자는 "32형·34형 등 다양한 사이즈에서 UHD 해상도의 자발광 패널이 생산되고 있지만, 27형 범용 사이즈로 UHD 자발광 패널 공급에 나선건 삼성디스플레이가 유일하다"고 강조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전시관을 통해 초박형(Ultra Thin) 구조에 IT OLED 패널 최초로 1Hz 가변주사율(One Hz)을 적용해 전력 소비와 두께·무게를 각각 30%씩 줄인 'UT One'도 공개했다.
강 그룹장은 "UT라는 이름에는 원헤르츠 저전력, 원글라스 구조, 삼성의 원 앤 온리 기술이라는 3가지 의미가 담겨있다"며 "기존 OLED가 유리기판 두 장을 사용하던 것과 달리 UT One은 유리기판 한 장과 유·무기물 얇은 막(박막)을 결합한 초박형 구조를 적용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AI 시대 배터리 수명과 열 관리에 관심이 커지는데 최적의 설루션이 바로 UT One"이라며 "고객들에게 보다 얇고 가벼운 디자인이나 배터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삼성디스플레이는 프라이빗 전시관 입구에 배치한 휴머노이드 로봇으로 OLED가 LCD보다 가볍다는 점을 직관적으로 알려주는 퍼포먼스를 펼쳐 눈길을 끌었다.
ideaed@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