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K-태양광, 美 진출 박차 '기대 반 우려 반'…"다가올 호황에 베팅"

동남아 관세, 해외우려기업 확대 호재…中 견제 강화
AMPC 조기종료 논의 '악재'…"관세보다 수요 중요"

한화큐셀의 미국 텍사스주 태양광 발전소 자료사진(한화큐셀 제공)

(서울=뉴스1) 박종홍 기자 = K-태양광 업체들이 미국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미국 통상 정책의 급변 가능성과 중국의 동남아 우회 수출 차단, 세액공제 축소 등 호재와 악재가 공존하고 있지만 가능성에 기대를 걸고 있다.

중국에 대한 견제 강화로 공급 과잉이 사라지면 가격 상승과 함께 K-태양광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것이란 판단이다. 미국에 생산거점을 미리 확보해 놔야 반사이익을 제대로 누릴 수 있다는 계산인 셈이다.

美 ITC "동남아 4개국 태양광 제품, 실질적 피해"

23일 외신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 등 동남아 국가에서 생산되는 태양광 제품에 대해 조만간 고율의 반덤핑 관세 및 상계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이와 동시에 태양광 업체들에 세액공제를 제공하던 법안의 손질도 추진하고 있다.

우선 동남아에 대한 상계 관세 부과는 국내 업체들에 호재로 분류된다. 지난 20일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는 동남아 4개 국가의 태양광 제품들이 미국 내 제조업체에 실질적 피해나 위협을 주고 있다고 만장일치로 판단했다.

이는 미국 상무부가 지난달 예고한 관세 조치를 시행하기 위한 마지막 절차다. 상무부는 동남아 4개국에 국가와 기업별로 반덤핑관세 6.1~271.28%, 상계관세 14.64~3403.96%를 부과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국가별로는 캄보디아가 최대 3521%로 관세율이 가장 높다.

동남아를 향한 미국 정부의 고율 관세는 사실상 중국 업체들을 겨냥한 것이란 평가다. 그간 중국 업체는 미국이 자국산 제품에 70%의 관세를 부과하는 등 제재를 강화하자 동남아 등 제3지대를 통한 우회 수출을 시도해 왔는데 이를 차단하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태양광 제조 업체들이 비 중국산이란 것을 증명할 수 있는 원재료나 반(半)제품 사용에 집중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국내 업계 수혜가 예상되는 지점"이라고 말했다.

美 공화 IRA 개정 추진…FEOC 배제 '긍정적', AMPC 단축 '부정적'

미국 여당 공화당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개정 추진은 국내 업계 입장에서 기대와 우려가 공존하는 대목이다. 중국 업체 등 FEOC로 분류된 기업의 제품을 활용한 태양광 사업의 세액 공제 배제는 긍정적인 부분이다.

현재 공화당 내부에선 FEOC 세액공제 배제 시점을 올해 연말로 잡거나 법안 제정 후 1년으로 설정하는 방안 등이 논의되는 것으로 전해진다.

윤재성 하나증권 연구원은 "중국 태양광 모듈 업체의 보조금 수취 종료가 빨라지면 이들 업체의 가동률이 하향 조정되고 향후 증설까지 제한된다"며 "미국 태양광 모듈 시장의 공급 과잉이 빠르게 해소될 수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법안 개정이 한화솔루션(009830) 큐셀부문(한화큐셀)과 OCI홀딩스(010060) 등 미국 진출을 진행 중인 국내 업체에도 타격이 된다는 점이다.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 종료 시점을 기존 2033년에서 이르면 2028년, 늦어도 2032년으로 앞당기는 방안이 대표적이다.

삼성증권에 따르면 올해부터 2033년까지 받을 수 있는 한화솔루션의 AMPC 규모는 6630억 원이지만, 2028년까지만 받게 되면 규모가 2648억 원으로 60% 정도 줄어든다.

다만 미국 정부의 칼끝이 주로 중국 업계를 겨냥하고 있어 향후 공급 과잉이 해소될 것이란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미국 태양광 모듈 수요는 올해 50기가와트(GW)로 전망되지만 생산량은 25GW에 머무는 점도 현지 진출을 부추기는 요인이다.

OCI홀딩스는 내년 상반기 1GW, 하반기 1GW 등 2GW 규모의 태양광 셀 생산 공장을 텍사스에 짓고 있다. 한화큐셀도 조지아주에 총 연산 8.4GW 규모의 태양광 생산기지 '솔라허브'를 구축한 상태다.

업계 관계자는 "현업에서 중시하는 건 관세나 통상정책보단 미국의 태양광 수요 방향성"이라며 "AI 데이터센터나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으로 미국 내 전력 수요가 엄청나게 늘어나고 있다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1096pages@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