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투자회사가 공동 운용하는 '글로벌펀드' 290억 규모 조성
모태펀드도 40억원 출자…양국 벤처 생태계 교류 기대
국내 AI·IT·바이오·코스메틱 기업 10곳 투자유치 활동
- 이정후 기자
(서울=뉴스1) 이정후 기자 = 한국과 일본의 벤처투자회사가 공동으로 운용하는 '한·일 협력 글로벌펀드'가 290억 원 규모로 조성된다. 글로벌펀드 1조 원 이상 조성을 목표로 내세운 중소벤처기업부의 모태펀드도 40억 원을 출자한다.
중기부는 21일 일본의 더 로얄파크호텔 아이코닉 도쿄 시오도메홀에서 '한·일 벤처·스타트업 투자 서밋 2025'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행사는 일본 현지 진출 한국 스타트업 간담회, 한·일 협력 글로벌펀드 체결식, 한국 스타트업 투자유치 발표회 순서로 진행됐다. 행사에는 오영주 중기부 장관, 주일 한국대사관, 한·일 벤처캐피탈 및 스타트업 등 90여 명이 참석했다.
가장 먼저 열린 간담회에서는 일본에 진출한 한국 스타트업 9개 사가 참석했다. 박찬선 티씨노바이오 대표는 "일본은 지리적 접근성과 내수 시장, 글로벌 인지도가 좋아 일본에서 성공하면 글로벌로 진출하기 좋다"며 바이오 분야에서 대형 제약사와의 협력을 기대했다.
이어진 글로벌펀드 체결식에는 박선배 신한벤처투자 대표와 야스히코 유리모토 글로벌브레인 대표, 신상한 한국벤처투자 부대표가 참석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한·일 협력 글로벌펀드는 290억 원 규모로 조성될 예정이다. 신한벤처투자와 글로벌브레인이 공동으로 운용하는 게 특징이다. 한국과 일본의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뿐만 아니라 양국의 벤처 생태계 교류에도 역할을 할 전망이다.
한국 스타트업 투자유치 발표회에서는 AI, IT, 바이오, 코스메틱 분야 등에 해당하는 △에버엑스 △티큐브잇 △바이오녹스 △티씨노바이오 △스칼라데이터 △소테리아에이트 △알리콘 △스위치원 △샤플앤컴퍼니 △퍼플러스 등 10개 사가 참여했다.
중기부는 초기 스타트업이더라도 일본 시장 수요와 향후 투자유치 가능성을 고려해 일본에 이미 진출했거나 진출을 희망하는 스타트업을 선정했다.
오영주 장관은 "한국은 CES 2025에서 152개 사가 210개의 혁신상을 받는 등 한국 스타트업의 기술력과 창의성은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며 국내 기업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을 당부했다.
leejh@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