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에 '창업경제권' 개념 도입해야…초지역 협력 필요"
수도권에 70% 넘게 집중된 창업기업·벤처투자
"창업 인프라 보유한 지역 중심으로 뭉쳐야"
- 이정후 기자
(서울=뉴스1) 이정후 기자 = 지역의 창업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해 '창업경제권' 개념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광역·기초자치단체 단위로 파편화돼 있는 창업 정책을 인접 지역끼리 묶어서 추진하면 지역 창업도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이유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은 최근 '지역 혁신창업생태계 현황과 과제'를 주제로 보고서를 발간하고 이와 같은 방안을 제시했다.
'창업경제권'이란 단일 행정구역 경계를 넘어 창업 관련 자원과 인프라, 네트워크가 상호 연결된 경제적 협력체를 의미한다.
STEPI는 수도권에 집중돼 있는 혁신 창업 생태계를 비수도권에도 조성하기 위해 각 지역의 자원과 인프라를 연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에 따르면 3년 미만 벤처기업의 70.7%는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 벤처기업이 일정 규모 이상으로 성장하는 데 꼭 필요한 벤처투자 역시 80%가 수도권에서 이뤄지고 있다.
이와 같은 수도권 집중 현상으로 지역의 창업 생태계는 무너지고 있다. 수도권 GDP 비중은 2000년 48.4%에서 2022년 52.5%로 증가해 비수도권과의 격차는 계속 벌어지고 있고 청년 인구의 유출도 심화하는 중이다.
STEPI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행정구역 경계를 허문 '창업경제권' 개념을 도입하고 지방의 창업 중심도시와 인접 지역을 아우르는 초지역 협력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울산·경주·포항의 '해오름동맹'이 초지역 협력의 대표 예시다. 2016년 울산-포항 고속도로 개통을 계기로 해오름동맹을 결성한 세 도시는 4개 분야에서 30여개 협력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해오름동맹 벤처·창업기업 혁신 포럼'을 개최했다.
이 밖에도 인적 자본 및 기술·지식에서 역량을 보유한 대전, 스케일업 인프라에서 강점이 있는 울산, 5대 신산업을 중심으로 창업 정책을 추진 중인 대구를 혁신 창업 생태계 기반이 마련된 도시로 보고 육성 필요성을 시사했다.
STEPI는 초지역 협력의 일환으로 지역 대기업의 참여도 강조했다. 이들이 창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재정적 기반과 스케일업 단계에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유인 요인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최근 늘어나고 있는 지역벤처펀드는 지역 이해도가 높은 벤처캐피탈이 운용해 투자 경험을 지역이 직접 축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회수한 투자 자금이 해당 지역의 또 다른 기업으로 흐를 수 있도록 선순환 구조가 필요하다는 시각이다.
특히 지역 모펀드를 보다 지역에 특화하기 위해 현재 모펀드의 운용 주체인 한국벤처투자 외에 다른 주체로 대안을 모색할 필요성도 있다고 제안했다.
이 밖에도 모든 창업 정책의 전제 조건은 '창업 인재 확보'라며 창업 지원 전문가를 체계적으로 육성해 전문성을 높이고 창업 지원을 질적으로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leejh@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