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팡질팡 트럼프 관세, 정보 부족이 더 문제" 車부품업계 호소(종합)
오영주 중기장관, 부품업계 미국 관세 대응 현장 간담회
"이럴 때일수록 중장기 관점 중요…미래 전환 돕겠다"
- 장시온 기자
(서울=뉴스1) 장시온 기자 = 자동차부품업계에서 '미국의 관세 동향이 하루하루 바뀌는데 정확한 정보를 얻기가 힘들다'는 우려가 나왔다. 이에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비즈니스 지원단 등을 통한 1대1 대응 서비스를 검토하겠다"고 했다.
중기부는 15일 오전 서울 서초구 한국자동차산업회관에서 자동차부품업계와의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지난 3일 자동차 부품에 25% 관세 부과 조치가 발효된 것과 관련한 대응책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다.
간담회에는 김동욱 현대자동차 부사장과 수출 중소기업 7개 사,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중소기업중앙회,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 참석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자동차부품업계 관계자들은 정보 부족에 대한 애로가 가장 크다고 호소했다.
권민호 대솔오시스 대표는 "미국의 관세 정책이 수시로 바뀌는 상황에서 당장 수출 물량을 보내야 하는 입장에서 어떻게 대처할지 알 수가 없다"며 "중기부에서 관련 정보를 업데이트해 줬으면 좋겠다"고 했다.
김재승 모빌테크 대표도 "트럼프 한 마디에 방향이 바뀌니 혼란스럽다"며 "관 차원에서 대응 가이드를 주시면 좋겠다"고 했다.
오영주 장관은 "현재 협상이 진행 중인 상황이기 때문에 약간의 혼란은 어쩔 수 없는 부분이 있다"며 "비즈니스 지원단 등을 통한 1대1 대응서비스가 가능할지 검토해 보겠다"고 했다.
이어 "중기부는 중소기업별, 품목별 애로를 정확히 파악해 협상 주체인 산업부에 업계 목소리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며 "관련 자료를 협회 등에 보내 업계 전반에 공급하는 방법을 검토하겠다"고 했다.
중기부는 현재 15개 지역별 애로신고센터를 통해 비즈니스지원단의 관세 전문인력을 통한 심층상담과 현장클리닉을 연계하고 있다.
완성차 업체들이 미국 현지 생산을 늘릴 경우 중소 자동차부품업계 대응이 어려울 거란 우려도 나왔다.
정순백 삼광원테크 대표는 "자동차 산업 전반에 현지화 압박이 큰 상황"이라며 "한국에서 부품을 만드는 중소기업들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가 최근 가장 대두되는 이슈"라고 했다.
오 장관은 "현장 목소리를 들어보면 이미 상당수 부품사가 현지 이전 압력을 받고 있다"며 "중소기업 입장에서 해외 법인 및 공장 신설은 비용 측면에서 쉽지 않은 결정"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해외 이전은 기본적으로 기업이 주체적으로 결정할 문제"라면서도 "해외 이전을 하기로 한 기업은 그것이 원활하도록 돕고, 가지 못하는 기업은 사업다각화 등을 돕는 식으로 정책을 설계하겠다"고 덧붙였다.
김동욱 현대자동차 부사장은 "현대자동차의 연 미국 판매량 170만대 중 100만대가량을 한국에서 생산하고 있다. 이는 도요타와 혼다에 비해 높은 비율"이라며 "저희가 해외생산을 늘린다고 해서 기존 부품사들과의 연계가 떨어진다고 보지 않는다"고 했다.
이어 "이러한 생태계 통합은 기본 사업 전략이며 명확하다"고 덧붙였다.
참석자들은 10월로 예정된 미국의 중국산 선박 대상 입항 수수료 부과 방침으로 인한 물류비 부담 우려도 제기했다. 오 장관은 이에 대해 "바우처 지원 한도를 3000만 원에서 4000만 원으로 올리겠다"고 했다.
오 장관은 이날 간담회에서 "이럴 때일수록 단기적인 대응뿐만 아니라 중장기적인 대책도 놓치면 안 된다"며 전기차 등 미래 전환에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
오 장관은 "자동차부품은 33만 명의 고용을 창출하고 중소기업 수출 4위에 달하는 중요한 산업"이라며 "탄소중립 등에 따라 주요국이 미래차 산업에 뛰어드는 가운데 '초격차 1000+' 프로젝트에 미래 모빌리티를 추가해 전환을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관세 조치에 따른 중소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우리 중소기업이 4차 산업혁명 및 환경규제 강화 등 글로벌 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zionwkd@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