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슨·크래프톤·넷마블 '온기' 엔씨·카겜으로 확산 이어가나
넥슨·크래프톤, 올해 사상 최대 실적…넷마블, 지난해 흑자 전환
엔씨·카카오게임즈, 예상치 하회…올해는 반등 기대감
- 손엄지 기자
(서울=뉴스1) 손엄지 기자 = 게임업계가 보릿고개라지만 넥슨, 크래프톤은 사상 최대 실적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넷마블은 연간 기준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엔씨소프트와 카카오게임즈는 지난 4분기에도 시장의 기대치를 밑도는 실적을 낼 것으로 보이지만 올해는 실적 반등세가 주목된다.
13일 게임업계와 증권업계에 따르면 넥슨은 지난해 연간 기준 매출 4조 원 시대를 열 전망이다. 크래프톤도 연 매출 3조 원 달성이 유력하다.
넥슨의 주요 IP는 메이플스토리, 던전앤파이터, 바람의나라다. 지속적인 업데이트와 마케팅으로 기존 인기 게임이 꾸준히 매출을 견인하고 있다.
게임업계 관계자는 "던전앤파이터의 스핀오프나 새로운 세계관을 활용한 신작을 출시하는 방식으로 IP의 생명력을 연장했다"면서 "기존 게임 매출이 계속 우상향하고 있어서 실적이 견조하다"고 말했다.
크래프톤은 배틀그라운드 IP가 글로벌에서 흥행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견인했다. 지난해 3분기 기준 해외 매출 비중은 90%에 달한다.
여전히 배틀그라운드 단일 IP라는 우려가 있지만 올해는 '한국판 심즈'로 불리는 '인조이'를 비롯해 6개 신작 출시로 새로운 성장 동력을 모색한다.
2년 연속 영업손실을 기록했던 넷마블은 지난해 다시 연간 기준 흑자 전환에 성공할 것으로 보인다. '세븐나이츠 키우기'가 견고했고, '나혼자만 레벨업'이 성장했다.
지난해 5월 출시한 액션 역할수행게임(RPG) '나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는 출시 24시간 만에 매출 140억 원을 달성하는 성과를 거뒀다.
엔씨소프트는 지난해 3분기에 이어 4분기에도 영업 손실이 예상된다. 회사의 대표 IP '리니지'의 성공이 오히려 새로운 시도와 혁신을 주저하게 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난해 엔씨소프트는 전사적인 희망퇴직을 단행하고, 지원 조직뿐만 아니라 일부 게임 개발 조직도 분사하며 강도 높은 구조조정에 나섰다.
올해 1분기부터는 다시 흑자전환이 예상된다. 경영 효율화가 마무리된 데다 과거와 달리 다수의 신작을 속도감 있게 공개할 계획이다.
카카오게임즈 역시 지난해 4분기 실적이 시장의 기대치를 하회할 것으로 보인다. 기존 게임의 매출 하락과 신작 부진이 문제였다.
올해 카카오게임즈는 10종의 글로벌 신작을 출시하며 장르 다각화를 추진한다. 기존 모바일 중심에서 벗어나 글로벌 PC와 콘솔 플랫폼으로 확대한다.
카카오게임즈가 국내 유통을 맡은 '패스 오브 엑자일 2'(POE 2)가 초반 흥행에 성공한 것도 기대 요인이다. POE 2 흥행에 13일 주가가 18.28% 급등하기도 했다.
eom@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