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티메프 사태' NHN, 지난해 영업손실 326억…"적자전환"

4분기 매출 7.6% 증가한 6439억원…영업익 250억원 '흑자전환'
"올해 게임 성과 집중, 주요 사업 구조 효율화할 것"

NHN 사옥 '플레이뮤지엄' (NHN 제공)

(서울=뉴스1) 신은빈 기자 = NHN이 지난해 4분기 최대치 매출을 기록했음에도 '티메프(티몬·위메프) 사태'의 영향으로 연간 300억 원대 영업손실을 내며 적자 전환했다.

NHN은 지난해 연 매출이 전년 대비 8.2% 증가한 2조 4561억 원, 영업손실 326억 원으로 적자 전환했다고 14일 공시했다.

영업손실은 지난해 3분기 티메프 사태로 인한 미회수 채권의 대손상각비가 반영된 영향이다.

NHN은 "티메프 관련 일회성 비용을 제외하면 연간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94% 증가한 1081억 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연결 기준 지난해 4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6% 증가한 6439억 원으로 역대 분기 최대치를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250억 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매출 증가는 게임, 결제·광고, 기술 등 핵심 사업의 성장이 견인했다.

4분기 부문별 매출을 살펴보면 게임 부문에서는 주요 웹보드 게임과 일본 모바일 게임이 선전해 전년 동기 대비 6.5% 증가한 1190억 원을 기록했다. ‘한게임 포커클래식’이 신규 경쟁 콘텐츠 ‘길드전’ 도입의 효과로 분기 최대 매출을 냈다.

결제·광고 부문은 NHN페이코의 기업 간 거래(B2B) 사업 성장과 NHN KCP의 해외 가맹점 거래 금액 증가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한 3070억 원을 달성했다. NHN페이코의 주력 사업인 B2B 기업복지 설루션은 4분기 거래금액이 전년 동기 대비 44% 증가했다.

커머스 부문은 불확실한 대외 여건 지속과 경영 효율화로 전년 동기 대비 16.6% 감소한 612억 원으로 집계됐다. NHN커머스의 중국 사업 담당 IBT가 화장품 브랜드 신규 유통 사업의 호조를 바탕으로 전 분기 대비 매출이 30% 증가했다.

기술 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50.2% 증가한 1185억 원으로 분기 최대 매출액을 달성했다. NHN클라우드가 공공 클라우드 전환 사업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거뒀다. NHN두레이와 NHN테코러스도 각각 두 자릿수의 매출 증가율을 기록하며 주요 기술법인들의 매출이 고르게 증가했다.

콘텐츠 부문 매출은 NHN링크의 연말 공연 사업 성과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4% 증가한 518억 원이다.

NHN은 올해 게임사업에서 유의미한 성과 창출에 집중한다. 주요 사업 부문별 구조 효율화 노력을 지속하며 수익성 개선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정우진 NHN 대표는 “지난해 티메프 사태가 경영환경의 핵심 변수로 작용했지만, 해당 영향을 제외하면 연간 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해 그간의 수익성 개선 노력이 구체적인 성과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에도 주요 사업 부문의 경쟁력 강화에 집중하며, 게임 사업에서 기대 이상의 성과를 창출하고 인공지능(AI) 트렌드와 맞물려 꾸준한 성장이 예상되는 클라우드 사업에서도 존재감을 확고히 다질 것”이라고 말했다.

bean@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